걷거나 앉는 등 사람과 유사한 동작을 하고, 간단한 대화를 비롯해 동화 구연, 율동, 동요 부르기 등 아이들을 위한 놀이도 할 수 있다. 코딩 기능을 활용해 미리 시나리오를 입력하면 알파미니가 그 내용을 직접 말하고, 춤추고 움직일 수 있다.
AI 로봇은 홀로 사는 어르신들을 위한 말동무 역할도 한다.
마포구는 우울증, 만성질환, 인지장애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을 위해 AI 반려로봇을 제공하고 있다. 마포구 캐릭터인 ‘마포동이’를 형상화한 인형으로 제작돼 친근함을 더했다. 다양한 대화를 포함해 약 복용 시간이나 기상 및 취침 시간, 날씨 등을 알려준다. 종로구 역시 고위험군 홀몸 어르신들에게 반려로봇 ‘효돌이’와 ‘효순이’를 지원하고 있다. 인체 감지 센서가 들어있어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파악되지 않으면 보호자에게 알려준다. 병원, 주민센터, 복지관, 문화센터 등 주요 일정을 설정해 놓으면 알림 서비스도 제공한다. 사용자가 로봇의 손을 3초 이상 누르면 보호자에게 전화 요청 메시지도 전송한다. 구청에서 민원 안내를 하는 ‘공무원’이 된 로봇도 있다. 용산구가 지난해 3월 ‘채용’한 구청 1호 로봇 공무원 ‘용봇’이다. 용봇은 2층 종합민원실에서 방문객들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 화면에서 마이크 아이콘을 누르고 질문을 하면 기본적인 답변을 한다. 또 구청을 방문한 사람들을 위해 음악에 맞춰 춤을 추기도 한다. 지난해에는 용산아트홀에 마련된 코로나19 백신 접종센터에서 방문한 주민들의 발열·마스크 착용 여부를 살피고 이상이 있으면 ‘마스크를 잘 착용하세요’ 같은 안내 멘트를 내보내기도 했다.
불법 주차 차량을 점검하고 야간 시간 공원을 순찰하는 AI 로봇도 만나볼 수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네 바퀴로 다니는 자율주행 로봇이 광진구 어린이대공원과 송파구 탄천 둘레길 곳곳을 순찰하고 있다. 사람의 비명 소리나 화재 등 위험 상황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소독약을 분사하거나 발열 체크를 하는 등 생활 속 방역 업무도 담당한다.
조희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