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한강르네상스’ 재시동
국제 수변공간 구상 용역 공고英카나리워프·獨하펜시티처럼
여의도~용산 등 거점 특화 발전
간선도로 개선·에어택시도 연구 오세훈 서울시장이 과거 재임 시절인 2006년부터 추진해 왔던 ‘한강 르네상스’에 재시동을 걸었다. 서울시가 한강변을 영국 런던의 카나리워프나 독일 함부르크의 하펜시티 같은 국제적 수변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계획에 착수한다.
시는 10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강변 공간구상’ 용역에 대한 입찰공고를 실시하고 오는 6월부터 본격적으로 계획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10억원의 비용이 투입되는 이번 용역은 15개월에 걸친 조사·연구를 거쳐 구체적인 개발 계획과 방안 등이 담길 예정이다. 용역 결과에 따라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도 수정된다.
이번 계획은 지난 3월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의 연장선이다. 시는 당시 발표했던 한강의 수변과 도시공간의 경계를 허물어 한강을 업무·상업·관광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내용을 더 구체화했다.
대표적으로 여의도~용산, 성수~잠실, 마곡~상암 등을 주요 거점으로 삼아 특화 발전시키기로 했다.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는 용산 정비창과 글로벌 금융 중심지역으로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여의도 개발 계획에 한강의 수변거점 조성 방안을 연계한다는 것이다. 여기엔 여의도와 용산의 중간에 위치한 노들섬 개발 방안도 함께 담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용산은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되면서 주변 지역 개발 방안이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여의도~용산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마곡~상암, 동쪽으로는 성수~잠실을 거점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강변북로 등의 한강변 간선도로 지하화 등 간선도로 개선 방안도 이번 용역에 포함된다. 현재 강변북로를 경계로 단절돼 있는 한강과 도시공간을 도로 지하화를 통해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2015년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안을 통해 반포 일대 아파트단지 재건축 추진 과정에서 한강변 도로 위를 덮어 연결하는 ‘덮개공원’ 설치를 제시한 바 있다.
시는 이 같은 개발을 통해 유휴지로 방치돼 있던 템스강 주변 지역을 1990년대 고층 업무지구로 개발한 영국 런던의 카나리워프나 항구의 오래된 물류시설 창고들을 사무실·호텔·주택지역으로 개발한 독일 함부르크의 하펜시티와 같은 공간으로 한강 주변을 변모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최진석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한강수변 잠재력을 적극 활용해 글로벌 선도도시로서의 초석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2022-05-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