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9월, 작년보다 5.9% 감소
中 도시 봉쇄·항만 적체가 원인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2019년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올해 1∼9월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약 236만 800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로, 지난해 같은 기간 251만 5000TEU보다 5.9% 감소했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올해 전체 물동량은 지난해 실적이자 올해 목표치인 335만TEU를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 IPA는 당초 올해 물동량 목표치를 350만TEU로 설정했다가 335만TEU로 하향 조정했으나 이마저도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 것이다. 인천항 연간 물동량은 2018년 312만TEU에서 2019년 309만TEU으로 소폭 감소한 뒤 2020년(327만TEU)과 지난해에는 신기록을 경신해 왔다.
IPA는 올 상반기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중국 주요 도시가 봉쇄돼 물동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글로벌 항만적체 현상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은 전 세계적 경기 침체로 하반기에도 물동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IPA는 물동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신규 컨테이너 항로 개설에 적극 나서 올해만 8개 항로를 새로 열었다. 인천항에서는 총 69개 정기 컨테이너 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한상봉 기자
2022-11-1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