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텃밭 조성 예산 10억 삭감
조직개편 땐 도시농업과도 없애
반려식물 관련 예산은 신규편성
시민협 “도시농업 위축 우려된다”
서울시는 시의회에 제출한 2023년도 예산안 가운데 서울형 도시텃밭 조성 예산을 올해 30억 9800만원에서 내년 21억 2600만원으로 삭감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와 별개로 ‘도시농업 활성화’ 예산도 기존 10억원에서 2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서울형 도시텃밭은 자투리텃밭, 학교텃밭, 옥상텃밭, 상자텃밭 등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시는 공공 및 민간기관 등의 옥상 공간에 텃밭을 설치하는 옥상텃밭 사업을 사실상 접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건물 위에 텃밭이 있다 보니 하중,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일반 시민에게 옥상이 개방돼 보완에도 취약해 관련 예산이 삭감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초중고와 대학교에 조성하는 학교텃밭 관련 예산도 서울교육청 측에서 반영하도록 하면서 관련 예산이 줄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앞서 시는 지난 8월 조직 개편을 하면서 경제정책실 아래 있던 도시농업과를 없애고 관련 업무를 쪼개서 배치했다. 현재 노동공정상생정책관 산하 농수산유통담당관과 푸른도시여가국의 공원여가사업과 등이 업무를 나눠 맡고 있다.
이처럼 도시농업 조직이 분산된 데 이어 관련 예산이 깎인 것을 놓고 시민단체 등에서는 “전임 시장의 핵심 사업이었다는 이유로 도시농업을 없애려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또 도시농업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늘어나는 흐름을 거스른다고 주장한다. 시에 따르면 도시농업 참여자 수는 2019년 64만명에서 지난해 66만명으로 증가했다. 서울시도시농업시민협의회 관계자는 “서울시의 조처로 도시농업이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자치구와 협력해 도시농업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진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