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3 국내 간선도로에 첫 적용
3개월 시범사업 후 유료로 전환
|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충북도, 세종시는 27일부터 오송역과 세종시외버스터미널 간 22.4㎞ 구간을 운영하는 ‘BRT 전용 자율주행 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이날 밝혔다. BRT 자율주행 버스는 ‘A2’, ‘A3’ 등 별도의 노선 번호로 운행되며 기존 B0, B2, B4 등 일반 시내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의 한 축을 담당할 예정이다.
운행되는 자율주행 버스는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전기버스(14인승 아폴로750 1대)와 일반 승합 버스(15인승 레스타 2대)이며, 안전 운행을 위해 운전원과 안전요원이 동승한다. 레벨2까지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지만, 레벨3는 운전자의 개입이 최소화되고 비상시에만 운전자가 대응하는 단계다. 자율주행 버스는 물체 감지를 위해 레이더 1대와 빛을 이용해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32채널 라이다 4대 등을 갖췄다.
운행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낮 12시부터 오후 4시까지 왕복 6회 운행되며 기존 BRT 노선 8개 정류장에 정차할 예정이다. 세종시·충북도 누리집, BRT 정류장 포스터 내 QR코드로 사전 체험 신청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번에 선보인 자율주행 버스는 내년 대전 반석역을 시작으로 2024년 이후 청주공항·조치원·공주·천안아산 등 충청권 주요 지역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자율주행 버스는 3개월 정도의 시범운행을 거쳐 시내버스 요금을 적용한 유상 서비스로 전환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에 개시되는 BRT 자율주행 버스 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간선도로에 자율주행 버스가 도입된 사례”라며 “더 많은 국민이 자율주행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시범운행지구 확대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종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