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농업 기술 ‘메타팜’ 혁신
AR로 재배·수확·배송도 척척생산성 높이고 유통구조 개선
장수 사과나무 150그루 분양
제주선 작년 감귤로 시범사업 집에서 증강현실(AR)로 사과나무를 기르고 농사를 짓는다. 온도와 습도 등 기본 데이터를 입력해 작물의 성장 과정을 미리 보는 시뮬레이션으로 시행착오도 줄인다. 농업과 메타버스를 접목한 ‘메타팜’이 가져올 미래 농업의 모습이다.
최근 미래 농촌을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이 농업에 적극 도입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증강농업’(AF) 형태로 재조명받고 있다. 질병·해충 감지, 급수 타이밍 시각화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복잡한 유통 구조를 개선하는 게 주요 목적이다.
4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지방자치단체와 농촌진흥청, 농가 등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각종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전북도는 이번 달 장수군 사과나무 150그루를 일반인에게 분양할 계획이다. 온실의 미세한 온도와 습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한 증강현실을 구축함으로써 집에서 메타버스 기반 증강현실을 활용해 계약과 동시에 비료, 농약, 꽃따기, 열매솎기, 수확, 배송에 이르기까지 실시간으로 간접 체험하는 방식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나만의 나무를 가꾸는 재미를 느끼고 유통 비용을 절감해 일반 시중가보다 싼 값으로 사과를 구매할 수 있다”면서 “내년에는 20 농가, 3000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진청은 이보다 확장된 개념의 메타팜을 준비 중이다. 농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도, 이산화탄소, 일사량 등의 데이터값을 설정해 초기·중기·후기에 따라 작물이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미리 보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다. 시행착오를 줄여 수확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게 목적이다.
농진청 조예슬 연구사는 “메타팜은 특정한 방식이 아닌 메타버스를 활용한 다양한 시도를 일컫는 말”이라면서 “농진청은 시뮬레이션 요소와 성공 작물, 실패 작물의 모델링을 늘려 최적의 농업 환경 조건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