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 통행량·밀집도 등 분석
AIoT 활용해 자동 분류도 추진
시는 문화체육관광 연구개발사업에 선정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산시설공단, 지역 기업인 코끼리공장·스마트뱅크와 함께 ‘관광지 자원 재순환을 위한 사물인터넷 활용 재활용품 회수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17일 밝혔다. 관광지 내 통행량, 인구밀집도 데이터 등을 수집하고 활용해 폐기물 분리수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2025년까지 29억 4000만원을 투입한다.
올해는 폐쇄회로(CC)TV와 차량 통행량 데이터, 신용카드 사용 내역 등을 활용해 관광지의 유동인구 현황과 변화 추이 등 관련 데이터를 수집·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재활용 폐기물 수거기를 최적 위치에 배치하고, 수거용 차량의 동선을 최적화하기 위한 설계를 진행한다. 내년에는 CCTV로 관광지의 현장 상황을 인식하고, 재활용 폐기물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한다. 이동형 재활용 폐기물 분리수거기도 도입할 계획이다. 3차 연도에는 관광지에 방문자가 과하게 몰리는 상황을 인공지능이 사전에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재활용 폐기물 수거함 위치를 자동 재배치하거나 수거 차량 동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과제를 부산시민공원에서 실증하면서 관광지 내 인구 밀집 관리와 효율적인 자원 순환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게 될 것”이라며 “이후 지역 내 다른 관광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산 사업도 추진해 관광지 자원 재순환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