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한강공원, 접근성 용이, 천혜의 자연환경
“지방정원 조성 시 경기도 힐링 중심될 터”
40만㎡ 규모 미사한강공원 지방정원 요건 갖춰
하남시 지방정원 추진 적극 주문
오 의원은 미사한강공원이 지방정원으로 조성되면 하남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녹지 인프라를 활용한 관광 자원 확보로 지역경제 발전에 밑거름이 됨을 강조했다.
‘미사한강공원’은 LH에서 추진한 미사공공택지지구 내 자리 잡고 있으며, 망월천 저류지를 미사호수공원으로, 구산숲을 포함한 한강강변 부지를 미사한강공원로 조성했지만 ‘미사한강공원’의 경우 혐오시설이 된 저류지, 특색 없는 전망대, 테마가 부족한 공원녹지, 방치된 공연장, 비좁은 주차장 등으로 시민들의 불편이 잇따르고 있다.
오 의원은 “미사한강공원을‘하남시 정원문화 확산 및 진흥에 관한 조례’에 근거해 최고의 입지 조건을 갖춘 전국에서 찾아오는 지방정원으로 조성하는 것이 열쇠”라며 이를 적극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어 “미사한강공원은 수도권에 있어 접근성이 쉬운 강점과 경쟁력 있는 지방정원 조성을 위한 천혜의 자연환경을 품고 있다”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오 의원은 “국가정원으로는 순천만·태화강 국가정원, 지방정원으로는 양평군 세미원을 비롯한 7개 지방정원이 조성 및 운영 중이며, 현재 약 27개 지자체가 지방정원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각 지자체가 앞다퉈 정원 조성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도심 내 부족한 녹지공간 확충, 시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개선, 정원관리의 지역 내 인력 채용 등 일자리 확충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사한강공원이 지방정원으로 조성되면 미세먼지, 열돔과 같은 기후변화 대응에도 큰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나아가 경기도에서 힐링의 중심 랜드마크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끝으로 오 의원은 “미사한강공원의 지방정원 조성은 하남시가 우리나라 최고의 살기 좋은 생태도시로 나아가는 시작점이 될 것이며, 하남시 정원1호 사업 추진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집행부에 촉구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