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준공 목표는 26년 뒤 2050년
33년간 바다 매립, 절반도 못 메워
‘해수면 상승’ 국내 평균보다 높아
“온난화 대책 세워 완공 앞당겨야”
국립해양조사원이 분석한 지난 34년 동안의 해수면 높이 증가 추이. 이 기간에 평균 10.3㎝ 상승했고, 군산이 연평균 3.41㎜씩 높아져 서해안에서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다. 국립해양조사원 |
특히 새만금이 만들어지는 군산 해수면이 서해권에서 가장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과 함께 완공을 앞당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21개 연안 해수면 높이는 지난 34년 간 10.3㎝ 가량 상승했다. 매년 3.03㎜씩 바닷물이 차오른 것이다. 해수면 상승 속도 역시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최근 10년(2013~ 2022년) 간 해수면 평균 상승률(연 4.51㎜)이 지난 30년(1993~ 2022년) 간 평균 상승률(연 3.41㎜)보다 1.3배 높았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전북 군산 해수면이 연평균 3.41㎜씩 높아져 울릉도(5.31㎜)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 폭이 컸다. 문제는 이곳에 새만금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새만금은 군산과 김제, 부안 바다를 메우는 사업이다. 1990년 중반에 시작된 새만금 사업은 33년째 진행 중이다. 최근 10년(2011~2021년) 간 8조 4000여억원을 투입했지만, 고작 절반도 매립하지 못했다.
개발 면적도 넓고 장기적으로 진행되다 보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새판짜기가 반복됐다. 이번 정부 들어서도 적정성 검토를 이유로 올 상반기까지 SOC 사업을 멈춰 세웠다.
새만금개발청은 해수면 상승 추이를 주의깊게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김경안 청장은 “SOC 재검토와 매립은 별개의 문제로, 2030년이면 80%가량 매립이 될 것”이라면서 “현재로선 해수면 상승이 새만금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이지만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필요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