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작년 기준 35만 가구 넘어서
소통 채널 부족… 사회 동화 힘들어
전문가 “지역 밀착형 정책 전환을”
전남 고흥군에 거주하는베트남 출신 A씨(39)는 23일 “마을 어르신들이 따뜻하게 대해주셔서 감사하지만, 교육이나 병원, 생활 정보조차 알 수 없다”고 토로했다.
다문화가정을 뒷받침할 맞춤형 정책은 부족하고 언어 장벽과 문화적 고립도 해소되지 않아 일상에서 마주하는 ‘보이지 않는 벽’은 여전히 높다. 전남 진도군 관계자는 “농어촌 특유의 보수적인 분위기와 부족한 소통 채널로 인해 다문화가정이 지역사회에 쉽게 녹아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국내 다문화가정은 35만 가구를 넘어섰다. 통계청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5년 23만 가구 대비 약 52% 증가했다. 전남도는 2023년 기준 결혼이민자는 1만 3890명, 다문화가구원은 5만 2817명에 달했고, 다문화 학생은 1만 100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부산은 10년 새 1만 8000가구로 50% 가까이, 광주광역시는 5800가구로 약 45% 증가했다. 결혼이민자와 외국인 노동자 가족의 유입이 동시에 이뤄지며 지방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에서 다문화가정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다문화가정 정착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1분기 부모·자녀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 생활서비스 방문교육을 1만 268명에게 제공했다. 결혼이민자 여성에게는 산모도우미, 다문화 엄마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자녀에게는 이중언어 교육과 교육비를 지원한다. 국적취득비 지원과 취업 연계 교육도 확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녀 교육, 부모 취업, 언어 교육, 문화 수용성 강화 등을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다문화정책은 더 이상 국가가 주도하는 포괄정책이 아닌 생활 속에서 체감 가능한 지역 밀착형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다문화 정책의 체계화와 실행력 강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 중장기 예산 확보, 전문인력 양성 등 종합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