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에 친환경 도시철도 트램이 들어설지 관심이 쏠린다.
19일 경남 김해시는 지난해부터 진행한 트램(도시철도)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최근 마무리 짓고 하반기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2023년 5월 국토교통부는 김해 3개 노선이 포함된 ‘경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확정·고시했다. 이에 근거해 진행한 용역에서는 확정된 1호선·2호선을 합쳐 최적의 노선을 도출했다. 수로왕릉역에서 출발해 주촌 선천지구, 장유역을 지나 율하지구까지 이어지는 노선(26.65㎞)이다. 운행 간격은 10분, 하루 평균 이용객은 2030년 기준 4만 7663명으로 봤다. 사업비는 약 6954억원으로 추정했다.
창원시도 지난 4월 도시철도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트램 사업 고삐를 당겼다. 용역 결과 국토부에서 승인한 창원 3개 노선 중 최적의 노선은 마산합포구 월영동~창원시청~진해구청(33.2㎞)으로 나타났다. 사업비는 1조 606억원, 운영비는 연 351억원으로 추산됐다.
트램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르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별로 선로 설치 때 심화할 수 있는 병목 현상 완화 방안, 막대한 재정 부담 등이다.
일부 전문가는 “궤도차량 시스템인 수소트램에 한정하지 않고 최근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통과한 무궤도차량 시스템 등 다양한 운행시스템 적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미래 교통 환경과 재정 여건을 고려한 신중한 실행 방안 마련이 요구되는 가운데, 트램은 새 정부의 ‘부울경 30분 생활권 구축’ 구상과 맞닿아 있어 향후 결과가 주목된다.
김해 이창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