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수문 개방 늦어 극한호우 피해”
남해 “5일 동안 열어 양식패류 폐사”
산청군 청현·야정·신안·수대 4개 마을 수해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3일 진주시 내동면 한국수자원공사 남강댐지사 앞에서 ‘남강댐 상류 지역 주민 총궐기대회’를 열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7월 극한호우로 수해를 본 산청 주민 등 300여명이 참가한 이날 궐기대회에서 대책위는 “7월 수해 때 남강댐지사가 탄력적으로 수문을 개방했더라면 피해는 절반 아니 그 이상으로 줄어들었을 것”이라며 “남강댐지사는 지침대로 했다지만 댐 상류지역에는 강이 넘치고 강둑이 터졌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이 삶의 터전을 잃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속한 피해 현황 조사, 댐 관리 지침 개선, 재발 방지 대책 수립 등을 촉구했다.
남강댐 방류와 관련한 피해 호소는 댐 하류 지역에서도 나온다. 남해군 어촌계장 연합회와 수산업경영인연합회, 어업인 단체 등으로 구성된 남해군 남강댐 어업피해 범대책위원회는 8월 남강댐을 찾아 규탄대회를 열었다.
7월 집중호우 때 남강댐은 5일간 수문을 열었다. 이때 7억t가량의 민물이 남강을 따라 사천만·강진만 등 남해안으로 흘러들어 바닷물 염분이 낮아졌고 바지락·굴 등 양식패류가 집단 폐사했다. 어민들은 수십년 동안 반복돼 온 이 피해에 대해 공사와 정부가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산청 이창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