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일 서울 금천구 독산동 축산시장에서 한 … 20일 서울 금천구 독산동 축산시장에서 한 상인이 고기를 정돈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
반경 100여m 이내에 특급 호텔인 노보텔과 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 할인점이 영업을 하고 있다.전통적인 소매업 형태의 축산시장과 현대적인 할인점이 동일한 상권에서 공존한다는 것이 재미있었다.
●한우·수입육 등 원산지 엄격 구분
독산동 축산시장은 소와 돼지의 지육과 부산물을 판매하는 곳으로 지난 1971년에 문을 열었다고 한다.현재 서울에는 독산동을 비롯해 가락동과 마장동에 대형 축산 시장이 영업중이다.도축장과 연계해 있는 곳은 독산동과 가락동 두 곳이라고 한다.
독산동 축산시장은 독산동길을 사이에 두고 유창,한일,명성,협진 등 유통상가에 500여개의 상점이 있고 로드숍으로 20여개의 정육점이 영업을 하고 있다.한우와 국내산 육우,수입육의 원산지를 엄격하게 구분하여 판매하고 있다고 한다.주력 판매상품은 지육 외에 머리,곱창,사골,족발,내장,염통 등 부산물이다.
판매가격은 일정치 않다.날짜마다,가게마다,반입량 등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다만 일반 시장이나 할인점 매장에 비해 조금 싼 편이다.무엇보다 도축장에서 당일 생산한 부산물을 바로 반입하기 때문에 신선도가 높아 인기가 있다고 한다.주요 고객들은 음식점을 운영하는 업주들과 경조사가 있는 사람들이며 개인고객은 장년 층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500여개 점포 연중무휴 영업
|
|
75년부터 이 곳에서 영업을 해온 최석규(60)씨는 “독산동 축산시장은 지난 80년대 중반이 가장 번성기였으며 요즘은 광우병 파동의 여파와 웰빙 식문화의 확산으로 과거에 비해 어려운 편이다.”면서 “수입육 반입이 중단되고 국내산 부산물의 양도 줄어들면서 가격이 올라 판매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한다.자기 매장에서 손님 맞이에 한창이던 김성예 (61)씨는 “요즘 젊은 사람들은 부산물을 즐겨 먹지 않기 때문에 판매가 예전만 못하다.”며 “과거에는 사골이나 지육에 붙어 있는 기름도 모두 사용했는데 지금은 말끔하게 분리해서 판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미숙 시민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