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인사위원회 홈페이지에는 인사교류를 희망하는 철도 공무원들의 절절한 사연이 넘친다.내년 1월 공사 전환에 따라 신분이 바뀔 수밖에 없는 철도 공무원들이 공직 잔류를 위해 스스로 돌파구를 찾아 나서고 있다.정부나 철도청은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철도청은 실무자인 6∼7급 직원의 대거 이탈로 현장에서는 업무 차질마저 빚어지고 있으나 이들을 잔류시킬 대안이나 명분이 없어 속수무책이다.
4일 철도청에 따르면 철도구조개혁이 본격적으로 거론된 지난 1999년부터 올 8월 말까지 504명이 타 부처로 자리를 옮겼다.올 들어서만 181명이 철도청을 떠났다.반면 최근 6년간 전입자는 153명에 그쳤다.상대적으로 젊은 인력들이 빠져나가고 고참 공무원들이 들어왔다.
더욱 심각한 것은 현직 공무원 중 공무원 잔류를 원하는 4급 이하 전출 희망자가 2000명이 넘는다는 사실이다.이는 일반직 공무원 7000여명의 3분의1에 가까운 수치다.일반직 중에서도 타 부처 전출이 불가능한 운수직을 뺀 수치인 점을 감안하면 공무원 잔류 희망자는 이보다 훨씬 늘어난다.
이들이 빠질 경우 철도청 업무는 사실상 중단될 수밖에 없다.
철도청은 조직과 직원들의 안정 및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해 공무원 잔류 희망자에 대해 중앙인사위원회가 수용해줄 것을 희망하고 있다.관건은 이들이 국가공무원법상 조직개편에 따른 초과인력으로 볼 수 있느냐는 판단이다.
이와 함께 이달부터 각 부처를 대상으로 전입 희망자 모집에 나설 계획이다.철도청 공무원직장협의회는 최근 건교부에 공무원 신분으로 공사에 근무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