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이전 반대 집회 등 자치구별 활동에 서울시 예산이 들어갔다는 열린우리당 이부영 의장의 ‘관제데모설’ 때문이다.겉으로는 조용한 것처럼 보이지만,중앙정치권과 분위기가 다르다는 점은 뚜렷하다.이명박 시장,임동규 서울시의회 의장,이재창 서울시 자치구의회의장협의회장을 비롯해 수도이전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는 측과 열린우리당 등 ‘서울의 야당’ 측은 관제대모설 제기로 자신들이 승기(勝機)를 휘어잡았다고 여기는 모습이다.
특히 이 의장의 텃밭으로 받아들여지던 강동구 쪽 분위기가 심상찮다.이 시장은 관제데모 주장에 대해 처음엔 일고의 여지도 없다며 깔아뭉갰다.최근 지방선거와 총선에서 줄줄이 대패한 열린우리당 인사들이 판세 전환을 겨냥해 의도적으로 기획한 ‘폭거’로 규정한 것이다.
하지만 여당과 정부 쪽이 이를 이용하려는 움직임인 데다,자치구와 구의회들도 “정부가 수도이전 홍보를 위해 국가 돈을 쏟아붓는 마당인데,이참에 수도이전반대 활동을 위한 예산을 따로 짜라.”고 옥죄자 소극적인 자세를 완전히 바꿔버렸다.한마디로 “(이 의장과 여당이)상대를 잘못 골랐다.”며 이를 갈고 있다.오히려 “딱 걸렸다.”는 얘기다.
이 시장 측은 드러내놓고 수도이전 반대활동을 못하던 차에 상대방이 명분을 줬다고 풀이한다.이전까지는 “서울시 운명이 걸린 사안에 대해 수장(首長)으로서 가만히 있다면 도리어 이상한 것”이라면서 성명서 발표와 수도이전의 허구에 대해 연구하라고 시정개발연구원 등 산하기관에 지시하는 정도에 그친 게 사실이다.따라서 가속도를 갈수록 더하고 있는 정부의 수도이전 계획에 비해 서울시의 대응은 비현실적인 것으로 줄곧 비쳐져왔다.
이 의장을 등에 업은 시내 열린우리당 인사들,특히 강동구의회 쪽 역시 관제데모 폭로로 여론이 자신들 편으로 돌아섰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지난달 20일 관제데모 기자회견장에서 증인 역할을 한 강동구의회 성임제(44·암사2) 의원 등은 “추석을 전후로 최대의 정치적 수확을 거뒀다.”고 자평했다.이를 계기로 2006년 4월 지방선거에서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자신감도 나타냈다.이 의장의 지역구인 강동구 쪽 열린우리당 목소리가 워낙 거세,실제 자치구 예산 500여만원이 수도이전 반대 집회에 쓰인 것으로 알려진 노원구 얘기는 쑥 들어가버린 양상이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