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선재센터는 경북 경주 선재미술관의 분관. 건축가 김종성씨의 작품인 아트선재센터는 기하학적인 4분원 형태로 설계됐다. 당초 개조한 한옥으로 문을 열었지만 전시공간을 넓히고 관람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난 1998년 현대식 건물로 지어졌다. 지하 3층 지상 3층의 아담한 크기. 연면적은 1500여평(4500여㎡)으로 꽤 넓은 편이다.
아트선재센터의 얼굴은 2·3층에 위치한 전시장. 박물관과 미술관의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미술장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공간으로 운영되면서 미술전문가와 일반 대중 모두에게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높이 3.9m,225평 넓이로 단일 공간으로 만들어져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주요 행사는 유화·조각·판화 등 국내외 현대작가의 작품전시. 주로 실험적인 현대예술을 중심으로 국제적인 경쟁력을 지닌 젊은 작가들을 주로 초대한다. 지난 5일까지는 제5회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 작품전시회를 가졌다. 이밖에도 주차장프로젝트, 카페프로젝트 등 다양한 기획 전시도 열린다.
아트선재센터의 또 다른 자랑은 지하 1층에 자리잡고 있는 서울아트시네마. 지난 2002년 5월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주도로 예술영화 전용관으로 개관했다. 희귀 필름을 보존·상영하는 서울 유일의 시네마테크. 국내외 독립영화·실험영화를 상영하는 것은 물론 국제노동영화제 등 각종 영화제까지 열려 서울의 영화 애호가들에게는 대학로 하이퍼텍 나다, 광화문 시네큐브와 함께 일종의 ‘성지’와도 같은 곳이다.
내년 2월까지 장 피에르 멜빌 회고전, 발칸영화전 등 다양한 레퍼토리가 영화팬들을 맞는다. 다만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내년 2월 이후에는 다른 곳으로 옮겨 갈 가능성이 높다.
아트선재센터에서는 문화 예술뿐 아니라 정통 인도요리도 즐길 수 있다.1층에 있는 인도음식점 ‘달’이 그곳이다. 인도의 전통 장식품으로 꾸며진 이곳은 서울 시내에서 각종 카레, 케밥, 탄두 요리를 제대로 맛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음식점 가운데 하나다.
가격은 1만 5000원에서 2만원 선. 또 1층의 카페 아트선재에서는 2000원 선의 커피를 마시며 아기자기한 문구 용품도 ‘눈요기’ 할 수 있다. 인근의 현대화랑, 국제화랑, 국립중앙박물관 등도 둘러볼 만하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