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와 일부 산업단지만이 건설되었을 뿐 나머지는 진행형이다.
신도시 2공구에 우뚝선 ‘갯벌타워’의 존재가 빛을 발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신도시의 체면을 세워줄 뿐 아니라 도시 전체를 상징하는 ‘랜드마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 건물은 지난 2001년 9월 첨단산업기술단지인 송도테크노파크 5만 9130㎡ 부지에 착공돼 지하 3층, 지상 21층, 연면적 2만 5753㎡ 규모로 지난해 6월 준공됐다.
총사업비 410억원 가운데 300억원은 산업자원부와 인천시가 공동출연한 재단법인 송도테크노파크가, 나머지 110억원은 인천시 산하인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각각 부담했다.
이에 따라 전체중 12∼18층 소유지분은 중소기업센터가 갖고 있다.
갯벌타워는 벤처기업 및 관련 공공기업·연구소 등이 입주할 목적으로 세워졌는데 현재 입주율은 85% 정도.
3∼5층에는 시험생산연구소와 바이오지원센터,7층 생물산업실용화센터,12∼13층 선박검사협회,15층 인천중소기업지원센터,16층 한국표준협회,17층에는 인천신용보증재단 등이 각각 들어서 있다. 이들 기관은 집적화를 통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원스톱서비스 체계를 구축, 산업단지 개발에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8∼11층은 벤처기업을 위한 공간인데 예정된 30여개 기업 가운데 지금까지 10여개가 입주를 했다. 특히 이곳에는 창업 이후 정착 단계에 있는 중견 벤처기업들이 들어서 인천지역 벤처요람을 형성하게 된다.
20층에는 바다와 신도시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스카이라운지가,21층에는 인천경제자유구역 홍보관이 각각 설치돼 있다. 이곳에 오면 인천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는 말이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또 1∼2층에는 전시실·회의실·교육실·다목적홀·국제회의장 등 각종 지원시설이, 지하 1층에는 매점·약국·식당 등 편의시설이 자리잡고 있다.
갯벌타워에는 앞으로 인하대 산학협력관, 가천의대 생명공학센터 등 각종 연구소도 들어서 명실상부한 산·학·연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된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