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시에 따르면 여름철 수박 등 과채류 소비 증가로 하루 400여t이 배출되던 음식물 쓰레기가 500여t으로 늘어나는 등 최근 들어 20∼30% 증가하고 있다.
반면 처리시설은 제자리걸음이다. 넘쳐나는 쓰레기가 주택가·처리장 주변 등에 방치되면서 시민들이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더욱이 이달 들어 광주 인근 지역에 하루 40∼50t을 위탁 처리했으나 해당 자치단체의 반발로 중단됐다.
그러나 유일한 처리시설인 서구 유덕동 삼능 음식물 사료화 사업소는 하루 300t밖에 처리하지 못한다. 나머지 200여t은 충청권 등 외지 시설로 보내지지만 이들 처리업체는 지역 주민의 반발과 처리용량 등을 고려, 쓰레기 반입을 중단하거나 수거량을 줄이고 있다.
이 때문에 단독주택의 음식물 쓰레기가 수거되지 않는 휴일 뒤에는 쓰레기 반입량이 폭증하고 있다. 음식물 사료화 사업소는 주초부터 밀려드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고, 앞마당에 쌓아 두는 등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장마가 잠시 주춤하고 기온이 섭씨 30도 이상 올라가면서 처리장 주변의 악취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처리장과 이웃한 광주시청과 인근 상무지구 주택가 등지에서는 코를 막고 다녀야 할 정도이다. 최근 개통한 무진로를 달리던 운전자 김모(45)씨는 “인근 처리장에서 풍기는 음식물 썩는 냄새로 차량문을 닫아야 했다.”며 눈살을 찌푸렸다.
상무신도시 아파트 주민 이모(41·여)씨는 “장마가 갠 틈에 잠시 외출했다가 광주천변 쪽에서 바람을 타고 풍겨오는 악취 때문에 제대로 숨을 쉴 수가 없었다.”며 시당국의 안이한 대처에 불만을 터뜨렸다.
그러나 현재 건설중인 송대하수처리장 제2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시설(처리량 150t)은 오는 9월쯤 완공될 예정이어서 당분간 불편은 계속될 전망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쓰레기량은 늘어나지만 처리 시설은 그대로여서 대책은 오직 ‘감량’뿐”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