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여수 금오수도∼가막만 하단∼금오도 동안 해역의 적조 밀도가 매우 높은데다 발생범위도 돌산도 동남측 수역으로 확대돼 양식장 어류 피해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1일 전남도에 따르면 이들 해역에는 유해성 적조 생물인 코클로디니움 밀도가 최근까지 ㎖당 최고 2만 2500개에 달했다. 이 지역에 내린 비로 31일에는 1만 1500∼1만 8500개로 밀도가 약간 낮아졌으나 불볕 더위가 이어질 경우 다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여수 돌산읍 군내리와 남면 송고리 등 2개 어가에서 돌돔 33만 9000마리, 참돔 9만 9000마리 등 43만 8000여마리가 추가로 폐사해 2억 1900여만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올들어 첫 피해가 발생한 7월27일부터 지금까지 모두 8개 어가 52만 7000마리의 물고기가 폐사했으며 피해액은 2억 7300만원으로 늘어났다.
전남도와 여수시,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은 1일에도 정화선 5척과 어선 400여척 등을 동원해 여수 가막만과 고흥 나로도 해역에 황토 1000여t을 살포하는 등 적조방제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이날 현재 고흥군 수락도∼나로도 봇돌바다 수역의 적조는 지속되고 있으며 여수금오수도∼가막만 하단∼금오도 동안 해역은 밀도는 줄었지만 여전히 고밀도를 유지하면서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여수, 남해군 연안에 발생중인 적조는 수온과 일사량 상승으로 고밀도 적조가 계속되고, 완도∼강진 등 남해 서부해역도 수일 안에 적조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고밀도 적조띠가 분포한 여수 일대 해역 양식어업인은 산소공급 등 양식장 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