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시에 따르면 건교부가 검단신도시 기능이 청라·영종지구 등 인천경제자유구역 및 김포신도시와 중복될 우려가 있다며 조성계획을 유보해 달라는 입장을 전해옴에 따라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18일 이 문제를 다루게 될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검단신도시 개발의 당위를 내세우는 인천시와 이에 반대하는 건교부 사이의 공방이 뜨거울 전망이다.
시는 서구 검단·당하동 등 인천 서북부 지역에 530만평 규모의 신도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영종·청라지구, 김포신도시 등 급격한 주변 도시공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계획도시를 건설해 수도권 서북부 거점벨트를 형성한다는 취지다.
그동안 검단지역에는 작은 규모의 아파트가 무질서하게 들어서면서 도로망 등 기반시설 부족에 따른 난개발 문제가 제기돼 왔다. 검단신도시 면적(530만평)은 일산신도시보다는 크고, 판교신도시 (580만평)에 비해서는 약간 작은 규모다.
시는 검단신도시 조성계획이 건교부의 반대로 어려움에 처할 위기에 놓이자 개발의 시급성 등을 들어 건교부는 물론 지역 정치권을 전방위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건교부에서 난색을 표명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면서 “사업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선 건교부의 이해가 절대적인 만큼 중앙도시계획위원들을 상대로 충분한 설명을 하겠다.”고 말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