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개관을 사흘 앞둔 25일 늦은 오후. 주부 박경선(36·동부이촌동)씨는 각각 초등학교 2학년과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아들 딸을 데리고 박물관을 미리 찾았다. 개관 전 한적할 때 미리 이곳의 모습을 아이들과 함께 카메라에 담아두기 위해서다. 박씨는 “걸어서 10분 거리니까 운동하기에도 좋다.”면서 연방 셔터를 눌러댔다.
용산동 6가에 들어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은 인근 주민들의 삶도 풍요롭게 하고 있다.‘주한 미 8군’이라는 이름표를 떼고 서울의 최고 주거지로 발돋움하고 있는 셈이다.
●교육·문화환경 갖춰
국립중앙박물관 앞에는 ‘세계 6대 규모’와 ‘단일 최대’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국보 83호 반가사유상, 보물 527호 김홍도 풍속도첩 등 소장 유물의 질도 규모에 못지 않다. 신장·위구르 지역 등의 중앙아시아실까지 마련하는 등 다양성의 미덕까지 갖췄다.
이곳의 가장 큰 수혜자는 당연히 국민 전체다. 그러나 인근 이촌동, 동부이촌동 주민들이 어느 누구보다 큰 혜택을 누리게 됐다.
먼저 미 8군 기지 대신 박물관이 들어서면서 교육·문화 환경이 국내 최고수준으로 올라섰다는 설명이다. 원래 박물관 자리에는 헬리콥터 기지가 있었다. 일단 기지가 없어지면서 소음도 많이 줄었다.
용산구 관계자는 “박물관 자리 맞은편의 용강중이나 아파트 단지에서 헬기 소음 때문에 ‘애들이 공부를 못 한다.’는 민원이 쇄도하곤 했다.”고 말했다.
●아파트가격도 ‘강남급’
이 곳의 발전은 이제 시작이다. 장기적으로 미 8군이 평택으로 떠나고, 그 자리에 민족공원 등이 들어설 만큼 이곳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원래 이곳은 ‘준강남’급이었다. 그러나 지금 인근 아파트 가격은 강남 부럽지 않다. 삼각지 용산자이와 용산시티파크는 평당 2000만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한가람, 대우 등 인근 아파트들도 평당 2000만원 가까이 된다. 국립중앙박물관 ‘프리미엄’이 상당히 붙은 수치다.
다만 요즘 부동산 거래는 거의 끊겼다. 정부의 8·31 부동산 정책의 여파 때문이다. 내놓는 주인도, 집을 보는 손님도 거의 없다. 가격도 약보합세다. 다만 박물관 개장 이후에는 어느 정도 시장이 살아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촌동 H부동산 관계자는 “아파트 소유자들이 장래성을 보고 지켜보고 있는 추세”라면서 “연말이나 내년 초쯤에는 가격도 오르고 시장도 어느 정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대 식당가도 환영 일색이다. 인근 동부이촌동은 일식당 거리로 유명하다. 박물관 특수까지 가세하면 서울의 ‘대표 맛집 거리’로 부상할 가능성이 다분하다.
정통 일식 우동집으로 유명한 ‘보천’을 운영하는 용원중씨는 “불경기라 손님이 줄어드는 추세였는데 박물관 개관으로 장사할 맛이 날 것 같다.”고 기대감을 피력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