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구는 서울 시내에서도 최근 20여년 동안 급성장을 이룬 자치구로 손꼽힌다.‘구로공단’ 대신 구로디지털단지라는 ‘새옷’으로 갈아입은 지는 오래다. 환경 지수도 갈수록 올라가면서 살기 좋은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는 집행부와 함께 의회 김경훈(58·개봉2동) 부의장의 남다른 노력의 결과이기도 하다.
김 부의장이 의회에 진출한 것은 지난 1998년. 올해로 2대째 구의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김 부의장은 원래 구로구청 공무원 출신이다.93년 퇴직 직전까지는 10년 넘게 동장으로 재직했다. 고향도 구로다. 군 생활을 빼고는 한번도 이 곳을 떠난 적이 없다.
그는 “일선에서 주민들과 동고동락한 기억은 가장 큰 자산”이라면서 “공직 경험이 깐깐한 의정 활동을 펼치는 데도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김 부의장은 지역의 가려운 곳을 해결하기 위해 매일 동분서주하고 있다. 지난 9월 준공된 개웅중학교 체육관이 대표적인 사례다. 준공식에서 감사패를 받은 것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개봉동 지역의 교육 여건을 개선한 공로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또 지역의 개화천변에 인근 안양천과 연결되는 자전거·인라인스케이트 도로를 닦고 체육시설을 놓았다. 시흥시와 부천시가 개화천으로 흐르는 생활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 공사를 빨리 끝내도록 독려도 했다. 김 의원의 노력에 따라 개화천은 내년 중순부터 ‘작은 청계천’으로 거듭난다.
그는 지난해 5월 개봉2동 개봉로 육교 철거 사업을 잊을 수 없다. 이곳에 횡단보도가 없어 노약자나 장애인들은 자주 무단 횡단을 하곤 했다. 자연히 사망사고를 포함해 교통사고가 빈번했다. 주민들의 민원이 빗발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결국 김 의원이 경찰청 등에 직접 청원을 넣은 덕분에 육교를 없애는 대신 횡단보도가 개봉로에 놓이게 됐다. 개봉3동 현대아파트 주변 도로를 공원으로 만들고 개봉경로당을 설립한 것도 뿌듯하기만 하다.
주민을 위한 구정은 끊이지 않는다. 최근의 관심사는 모기 유충 박멸. 모기가 동면에 들어가는 겨울철에 아파트 지하실이나 늪지 등의 방역을 강화할 것을 구 의회와 행정부에 주문했다. 지난 3일에는 의원들과 함께 인근 아파트 지하 현장체험도 했다.
김 의원은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주는 게 중요하다.”면서 “지역과 구민을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