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교과목은 실습 위주로 구성돼 있다. 기초 이론과목으로는 취재보도론, 지역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영어, 연출론, 영상미학, 뉴미디어론, 방송윤리 법제 등이 있다. 실습 과목으로는 영상물을 만들 때 시각적으로 가장 좋은 표현을 만들어내기 위해 주어진 과제를 해석, 계획, 제작하는 프로덕션 디자인, 프로그램 기획과 대본, 사운드 프로덕션, 연기실습, 스튜디오 제작, 앵커링&리포팅, 방송편성론, 방송특강, 영상비즈니스, 방송비평 등이 개설돼 있다. 졸업 후에는 방송연출, 방송기자 및 아나운서, 리포터, 카메라맨,CF감독, 비디오 저널리스트, 뮤직비디오 감독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디지털방송 전공은 동양대(경북 영주)의 정보통신공학부와 동서대(부산)의 디지털영상매스컴학부 등 두 곳에 개설돼 있다. 비슷한 전공으로는 명지대(서울) 디지털미디어학과와 사회과학계열, 명신대(전남 순천) 디지털미디어학과의 디지털미디어 전공, 위덕대(경북 경주) 정보통신공학부의 디지털 방송통신 전공, 동서대 디지털콘텐츠학부의 디지털 프로덕션 전공이 있다.
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