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시장 개방이라는 거센 바람에 농촌이 떨고 있다.400만 농민들은 어느 해보다 올 겨울을 춥게 느낄 만하다. 그러나 이들이 외롭기만 한 것은 아니다. 도시의 ‘이웃사촌’들이 끊임없이 관심의 손길을 뻗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 송파구(구청장 이유택)는 동(洞)이 마을과 연계하는 일동일촌(一洞一村) 자매결연 사업을 적극적으로 벌이고 있다. 농촌 위기 탈피를 위한 이웃사랑의 모범을 실천하고 있는 셈이다.
송파구가 현재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도시는 모두 6개. 경북 영덕군과 충북 단양군, 충남 공주시, 경기도 여주군, 경북 안동시, 전남 광양시 등이다.
여기에 지난 84년 문정 1동이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과 인연을 맺은 것을 시작으로 관내 26개 동사무소가 모두 35개의 지방 읍면동과 자매결연을 이어가고 있다. 오륜동은 무려 6개 읍·면·동과 교류하고 있다. 기초단체 단위의 자매결연은 비교적 많지만 동단위에서 인연을 이어가는 것은 이례적이다.
일동일촌 운동이 시작된 것은 수입농산물 개방에 따른 소득감소와 영농후계자의 부재, 인구감소·고령화 등 날로 힘겨워지는 농촌을 살리기 위해서다.
일동일촌 운동은 다음달부터는 일동다촌(一洞多村) 운동으로 발전한다. 우선 송파 2동과 경북 영덕군 지품면, 문정2동과 충북 단양군 대강면이 새롭게 결연을 맺기로 했다. 앞으로 각 동마다 최소 4∼5개 고장과의 자매결연을 목표로 한다.
송파구 동들의 자매결연은 말로만 하지 않는다. 매년 특산물 직거래 장터는 물론 ▲자매결연지 주민 초청방문 ▲농어촌 체험 행사 등 다양한 교류 활동을 통해 정을 더욱 돈독히 하고 있다.
가락2동 주민 20여명은 지난 8월 자매결연을 맺은 충북 단양군 어상천면 임현리를 찾았다. 어상천초등학교에서 열린 어상천수박축제의 행사 진행을 돕기 위해서였다.
가락2동 주민들은 관광객들에게 어상천 수박을 홍보하며 직접 판매에까지 나섰다. 서울에서 3시간 넘게 걸리는 곳이지만 그동안의 우애를 생각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농촌체험행사도 인기다. 지난 7월 잠실 지역 주민들은 충북 청원군을 찾아 ‘농활’을 펼쳤다.
이웃 사랑을 실천하면서 농촌 생활을 체험하고 수확의 기쁨을 누릴 수 있어 일석이조의 행사였다. 행사가 계속될수록 참가자 숫자가 늘어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설날, 추석 등 명절 때 열리는 직거래장터도 호응이 높다. 특히 중국산 김치 파동 등으로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요즘, 믿을 수 있는 자매결연지의 먹거리는 ‘인기폭발’이다.
송파구는 자매결연의 질을 더 높이기 위해 다양한 외국 사례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일본 도쿄 세다가야구가 자매결연지인 군마현 가와바 촌에 구민 휴양촌을 건립하고, 초교 이동교실 등을 운영해 여가와 교육의 장소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 등을 주목하고 있다.
송파구 관계자는 “도농교류는 도시민들이 농촌에 소득과 일손을 제공하는 봉사의 측면에서 탈피, 서로가 협력해 상생한다는 개념으로 발전해야 한다.”면서 “물적 교류뿐 아니라 문화·인적 교류 등 다양한 분야로 교류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