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광주시에 따르면 기초생활수급대상자와 차상위 계층 등 1만 858가구에 모두 1만 3987포대의 정부양곡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말 내린 폭설에다가 연말연시 택배물량 증가까지 겹쳐 곳곳에서 배달 지연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21∼31일 배달돼야 했던 정부양곡의 상당량이 택배회사 물류 창고에 쌓여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동구·북구 등 시내 일부지역은 택배업무가 마비되거나 평소 배달 물량의 30%정도만 소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양곡 배달을 맡은 A택배 회사가 배송비가 비싼 다른 물건은 우선 처리하고 정부양곡 배달은 뒤로 미루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사고 있다. 이 회사는 현재 일반 물건은 접수후 수일내에 배송을 마치고 있지만 1포당 배송단가가 1800원인 정부양곡은 창고 출하후 1주일이 넘도록 배송지연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북구는 각 동사무소 사회복지사 등을 동원, 연락이 안 되는 대상자 집에 대한 길 안내 등 택배회사의 신속한 배달을 돕기로 했다. 광산구 역시 해당 회사에 전화를 통한 배달 독려와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처럼 배달 지연이 속출하면서 수급자들의 항의도 거세지고 있다. 지난 2일 쌀을 받은 김모(59·여·광산구 신가동)씨는 “매달 25일쯤이면 배달되던 쌀이 도착하지 않아 관계기관 등에 연락했으나 감감 무소식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정부양곡 20㎏짜리 1포대를 시중가의 절반 가격인 1만 9000원에 기초생활 수급대상자와 차상위계층에게 공급하고 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