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 미래 변화상을 표현하는 최고 캐치프레이즈다. 도가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사업이기도 하다.
그 심장이 청원군 강외면 오송에 있는 ‘오송생명과학단지’다. 모두 140만평으로 BT가 중심이다. 내년 완공을 목표로 올해 70%를 완성한다.
이곳에는 식약청, 질병관리본부, 보건연구원, 보건산업진흥원, 독성연구원 등 5개 국책기관이 2008년까지 옮겨 온다.
바이오 관련 15개 정부 및 기업연구소들이 들어올 계획이고 제약회사 등 48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BT관련 연구원과 기관, 기업이 이처럼 한곳에 집적화된 곳은 이곳이 국내 처음이다.
이같은 산업단지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 및 충북도는 1997년 국가산업단지로 지정하고 단지를 착공했다.
첨단 생명과학을 뒷받침할 ‘오창과학산업단지’도 가까운 곳에 조성돼 있다.IT가 집적화된 산업단지이기는 하지만 오송과 시너지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보고 있다.
이원종 지사는 “IT는 BT 산업발전의 기초가 된다.”며 “10년후면 오송과 오창이 결국 구별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2002년 청원군 오창면 일대 286만평에 조성된 이 단지는 주거시설과 상가 등을 갖춘 ‘자족형 도시’다. 입주가 끝난 지금도 입주문의 전화가 쇄도할 정도로 인기다.
각종 기반시설이 잘 돼있고 주변에 청주공항과 고속도로 등 교통이 좋기 때문이다.
이곳에는 한국생명과학연구원 영장류센터, 한국석유표준관리원 등 연구기관 3개와 전기전자 관련 첨단기업 117개 등이 입주해 가동되고 있다.
이 지사는 “국민들이 바이오하면 충북을 떠올릴 정도로 각인돼 있다.”면서 “올해부터 100억원대 바이오토피아 펀드를 조성, 세계적인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청주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