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 버리고 흉내부터
원어민을 직접 만나지 않고도, 영어학원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영어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은?말하기와 듣기는 실과 바늘같은 관계다. 따로 공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들어서 알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원어민 발음으로 들어야
때문에 말을 잘 하려면 우선 잘 들어야 한다. 듣기는 말하기 위한 일종의 준비운동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매일 영어를 꾸준히 들어야 한다고 권유한다. 특히 반드시 시간을 정해놓고 듣고 따라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듣을 때는 반드시 원어민 발음을 들어야 한다. 우리나라 사람이 하는 영어는 발음에 문제가 있으니 들을 때는 원어민 발음을 듣고 그대로 따라하는 게 중요하다.
●교재는 어떤 게 좋은가?
교재로는 초등학교에서 받은 영어학습 CD 등 검정된 자료를 활용하면 된다.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학교에서 간단한 영어회화를 배운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시디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많은 외국인들 가운데서 표준발음을 구사하는 사람으로 엄선해서 만들기 때문에 믿고 이용할 수 있다. 스토리 텔링도 있고 게임도 있고 의사소통 대화도 길게 나온다. 장면 별로 짤라서 이 시디를 반복청취하고 흉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밖에 어린이 동화책 등을 외국인이 들려주는 테이프나 인터넷 교육교재도 좋다.
●1단계 연습은 거울보고 큰 목소리로 말하기
준비운동을 했다면 다음은 실습.
1단계가 거울보면서 혼자 말하기다. 상대방 없이 거울을 보면서 자기 입 모양과 눈을 맞추면서 하면 된다. 자신없어 말을 못하거나 쑥스러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큰 목소리로 말하는 연습을 해두는 게 좋다.
혼자 말하기가 익숙해지면 인형 등 장난감을 대상으로 말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방법이다. 남자아이라면 공룡, 로봇, 여자아이라면 손 인형도 괜찮다.
이때 중요한 것은 무슨 연습이든지 구체적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후 4시부터 4시20분까지 20분간 한다는 식이다.
●가족도 도와야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가족들도 자녀의 영어 말하기 공부에 동참해야 한다는 점이다.
동생이나 형, 그리고 부모가 혼자 영어로 말하는 아이를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지 말고 자녀의 영어회화 파트너인 인형이 돼서 대답해주는 것이다. 영어가 자연스럽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집 분위기를 조성해 줘야 한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말하기 연습을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는 저녁시간대에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웃친구랑 함께 모여서 연습하는 것도 좋다. 일종의 스터디 그룹이다. 형제간에 하면 좋고 외동이라 그게 어려우면 아랫집 윗집의 또래 아이들과 해도 좋다. 교과서에서 배운 표현을 중심으로 단어를 바꿔가며 서로 묻고 답하는 식으로 연습하면 된다.
●의사소통이 중요, 문법은 나중 문제
단 연습할 때 일일이 우리말로 번역하려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한 단어에 집착한다거나 하나의 과목으로 생각하다보면 틀리는 것을 싫어해서 학습에 장애가 올 수 있다. 영어로 말하다 문법을 틀려도 괜찮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의사소통이 먼저라 생각하고 총체적 언어학습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느 정도 말하기 연습이 됐다면 방학때에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영어 캠프에 참가하는 것도 좋다. 당장 실력향상을 기대할 순 없지만 캠프활동기간 영어 외에는 사용할 수 없어 영어에 대한 마인드가 바뀔 수 있는 계기가 된다.
■ 도움말 서울교대 부설초등학교 김수정 교사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