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대전 중구 선화초등학교에 따르면 올해 입학생이 29명에 그쳐 한 학급만 겨우 구성했다. 지난해에는 37명이 입학했지만 올해는 이처럼 더 줄어 학급당 기준학생수 37명이 채 안되고 있는 상태다.
구도심이 대전의 중심지였던 10년전만 해도 학년당 7∼8학급이 있었고 학급당 학생수도 50∼60명에 달했다. 구도심의 명문 동구 삼성초교도 올해 52명만 입학,2학급 구성에 그쳤다.
반면 둔산신도시에 있는 서구 샘머리초교는 학년당 8∼9학급에 이르고 있다. 이 학교는 2000·2003년 두차례에 걸쳐 증축을 했으나 매년 신입생이 늘면서 교실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학급당 학생수도 41∼42명으로 불어나 ‘콩나물 교실’을 방불케 하는 실정이다. 이는 둔산과 노은 등 신도시가 잇따라 개발돼 중·고교의 중심학군이 이곳으로 넘어가자 학부모들이 교육환경이 뒤떨어진 구도심을 떠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학생이 부족한 구도심 학교에서는 수학여행, 체험학습활동, 졸업앨범제작 등을 할 때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기적성교육과 방과후 학교운영도 부분적으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조규헌 선화초 교감은 “1학년과 6학년간 친형제 맺기로 현장학습을 나가는 방법 등으로 어려움을 해소하고 있다.”면서 “교사수도 부족해 교사들이 업무과중에 시달린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