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토지의 개별공시지가를 잠정결정해 소유주들에게 열람한 결과,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늘어난 1593필지에 대해 이의신청이 들어왔다.
이 가운데 공시지가를 내려달라는 요구는 30%인 477필지에 그친 반면 70%인 1116필지는 올려달라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는 75%인 내려달라는 것과는 정반대 현상이다.
이는 혁신도시와 기업도시 등 주요 개발예정지 주민들이 토지보상금을 더 받으려고 집단민원을 냈기 때문이다.
공시지가는 토지보상가 결정의 핵심기준이 되기 때문에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보상금도 많아지게 된다.
실제 공시지가 상향을 요구하는 민원의 93%인 904필지가 혁신도시 개발예정지로 내년부터 토지보상이 시작되는 완주군 이서면에 집중돼 있다. 태권도공원과 기업도시가 들어설 예정인 무주군도 올해는 9필지에 그쳤지만 보상이 시작되는 3∼4년 뒤부터는 상향 요구가 빗발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주민들이 막무가내식으로 공시지가 상향을 요구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며 “일단 재검증 절차를 거치겠지만 주변토지와 형평성 등을 감안해야 하는 만큼 큰 폭의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