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돌의 의미는 무엇일까.
제주 주민들에게 돌은 단순한 자연생성물 이상의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이자 간절한 기원의 대상인 돌은 제주의 전통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키위드가 된다.
북제주군 조천읍 교례리에 새달 3일 들어서는 ‘제주 돌문화공원’은 제주의 전통과 독특한 돌 문화를 집대성한 박물관이자 생태공원이다.
100만여평의 대지에 7년 역사 끝에 문을 연다.
1999년 제주 탐라목석원 백운철 원장이 30여년간 수집한 자연석 등 1만 4000여점을 무상 기증하면서 시작된 돌 문화공원은 모두 411억원을 투입,15만평 규모의 1단계가 공사가 완공됐다.
한라산 전설에 등장하는 ‘설문 대할망(한라산을 베게 삼아 다리를 뻗으면 제주 앞 바다에 닿는다는 거대 여인)’과 오백장군(영실기암)을 모태로 돌, 흙, 나무, 쇠, 물 등 5가지가 돌 문화 공원의 테마이다.
돌 박물관에는 한라산이 폭발, 용암이 지상으로 분출하면서 연출한 기기묘묘한 형상의 자연석이 전시돼, 옥상에는 백록담을 연상시키는 지름 40m, 둘레 125m의 대형 ‘하늘연못’이 설치됐다. 특히 일본으로 반출될 뻔했던 사연을 안고 있는 용암이 빚어낸 ‘관세음보살상’도 선보인다.
울창한 천연자연림 사이로 지금은 사라져 버린 제주의 전통초가와 골목길도 재현했고 돌통시, 돌빨래판, 돌절구, 물허벅, 장독, 등 제주 사람들의 손때 묻은 의식주 도구도 모아 놓았다.
봉수, 연대 등 제주의 흔한 돌을 이용한 옛 통신시설도 볼 수 있다.
이 공원의 동선은 2.3㎞로 제대로 감상하려면 3시간은 족히 발품을 팔아야 한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6-5-30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