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광주·전남 26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광주·전남 교육연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개교한 6개 초·중교 대부분은 1100여명이 식사해야 할 급식소가 250석 규모로 설계됐다.
이에 비해 1년에 몇차례 사용에 불과한 시청각실은 별도로 설치돼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S중 등 일부 학교는 교실 배치가 ‘ㅌ’자형으로 이뤄져 북쪽과 가운데 교실이 일조량 부족으로 비위생적 환경과 악취에 노출돼 있는 실정이다.
D초교는 비행기 이·착륙이 수시로 이뤄지는 공항에 인접했음에도 이중창이 갖춰져 있지 않아 소음공해에 시달리고 있다.J중학교의 경우 도서관에 비치된 도서는 몇권에 그친 반면 도서관 비품구입비로만 2000만원이 넘게 들었다. 이밖에 ▲신발장이 붙박이형이 아닌 돌출형으로 설계돼 복도통행에 불편을 초래한 학교 ▲방음 벽지가 제구실을 못하는 학교 ▲복도 장판이 들뜬 학교 등도 대표적인 부실 의혹 사례로 지적됐다.
교육연대 관계자는 “부실한 시공으로 인한 피해는 학생들에게 돌아간다.”며 “학교 설계단계부터 비품구입까지 전 과정을 학부모단체나 교원단체와 협의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교육청은 “이들 신설 학교의 설계 및 비품구입 등에 대해 오는 19∼20일쯤 감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