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2006 서울통계연보와 서울시 소방방재본부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119 구급대’의 도움을 받은 시민은 21만 1325명, 올 상반기 동안 11만 912명이나 된다. 이용자 수는 2000년 20만 5765명에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서울시 소방방재본부가 119 구급대 이용자를 질환 종류별, 사고 유형별로 분류하면서 구체적인 이용자 통계가 나오고 있다.
●질병 이용자, 고혈압환자 가장 많아
119 구급대를 이용하는 사고자 중에는 추락·낙상자가, 질환자 중에는 고혈압·당뇨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119 구급대를 이용한 11만 912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고로 인한 이용자가 6만 416명, 질병으로 인한 이용자가 5만 49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가 6만 711명, 여자가 5만 201명이었다.
질병으로 인한 이용자 가운데는 고혈압 환자가 934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당뇨(4768명), 심장질환(3179명), 간염(462명), 결핵(304명), 알레르기(257명) 등의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당뇨, 심장질환, 결핵, 간염 환자가, 여성은 고혈압, 알레르기 환자 등이 많았다.
●사고 이용자는 추락·낙상자가 최고
사고로 인한 이용자는 추락·낙상으로 인한 이용자가 1만 529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교통사고(1만 1491명), 기타 외상(2499명), 중독(909명), 레저활동(436명) 등의 순이었다.
남자는 교통사고, 추락, 관통상, 화상 등이 많았고, 여자는 성폭행, 중독, 질식, 동물. 곤충 등에 의한 사고가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만 9376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1만 7864명),50대(1만 7424명),30대(1만 4032명)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별 증가율로는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대가 4151명에서 4700명으로 13.2% 증가해 증가폭이 가장 컸고, 이어 20대(7.4%·1만1908명에서 1만 2796명) 등이었다.
고혈압과 당뇨는 50대부터 많아지고, 심장질환과 간염은 40대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통사고는 20∼30대에서, 추락 및 둔상(외상)은 40∼50대에서 가장 많았다. 레저활동 부상은 가장 활동력이 큰 20대에서 두드러졌다.
●익사사고는 오후 3~4시 최다 발생
발생 시간대별로는 고혈압과 당뇨, 심장질환은 오전 9∼10시 사이에 1만 2743명이 발생해 가장 많았다.
교통사고는 오후 7∼8시, 성폭행은 새벽 3∼4시, 추락과 둔상은 오전 9∼10시에서 가장 많았다. 익사사고는 오후 3∼4시, 중독사고는 오후 11∼12시가 많았다. 레저활동 사고는 오후 3∼4시 사이가 가장 많았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