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동구는 27일 구의원, 구정자문위원, 시민사회단체장 등으로 구성된 ‘동구 경계조정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경계 조정을 위한 활동에 들어갔다.
동구가 5개 자치구 가운데 이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옛 도심권의 인구 유출 등으로 ‘자치구 존립 기반’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동구는 지난 1995년 15만명에서 현재 11만명으로 줄었다. 자체 수입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남구(121.8%)에 이어 두번째인 105.1%에 달한다.
자치구 하한선인 인구 15만명이 무너지면서 부구청장 직급이 서기관급(4급)으로 하향 조정됐으며, 지방의원 정족수가 9명에 그치면서 의회사무국도 과 단위로 격하될 위기를 맞고 있다.
동구는 그동안 인접지역인 북구 풍향동, 두암1·2·3동의 편입을 통해 6만여명의 인구 증가를 꾀했으나 해당 북구 등의 반대로 무산됐었다.
당시 안은 ▲동구와 남구 통합과 북구 분구 ▲북구의 풍향동, 두암1·2·3동, 문화동, 석곡동을 동구에, 서구 풍암지구 일부 남구 각각 편입 ▲동·서·북구간 인접 지역 대폭 조정 등으로 구분된다.
이 안은 지방의원 및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 문제 등으로 무산됐으나 외곽 신도시 조성 등으로 구간 격차가 커지면서 다시 쟁점화될 조짐이다. 인구별로는 지난 1995년 23만명이던 서구의 인구는 10년만인 6월 말 현재 31만명으로 증가했으며,17만명에 불과하던 광산구는 30만명으로 늘어났다.
반면 동구는 15만명에서 11만명으로, 남구는 25만명에서 21만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북구는 지난 1999년 47만명을 정점으로 줄어들기 시작해 2005년 말 45만명으로 감소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