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최남단 마라도를 점령한 골프카(카트)를 둘러싸고 논란을 빚고 있다.
주민들 스스로 차가 없는 청정 섬을 만들겠다고 자동차를 모두 섬 밖으로 내보낸 지 2년 만에 골프카가 대거 반입된 것이다.
●자동차 없는 청정특구
마라도는 지난 2005년 1월 자동차가 없는 청정환경특구로 지정돼 전 지역에서 자동차 운행이 제한됐다. 마라도 주민들이 천연기념물(423호)인 마라도는 차가 없는 자연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뜻을 모아 마라도에 있던 20여대의 자동차를 모두 섬 밖으로 내보냈다. 문명의 이기를 포기하고 자연의 섬으로 돌아가기 위한 실험에 나선 것이다.
이후 마라도는 차가 없는 자연 그대로의 ‘청정의 섬’이라는 이미지가 알려지면서 연간 20만∼30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인기 관광지로 변모했다.
●2005년말 골프카 3대 첫 반입
어렵사리 자동차를 모두 섬 밖으로 내보낸 지 1년 만인 2005년 12월 마라도의 한 주민이 전기로 움직이는 골프카 3대를 들여와 관광객들을 상대로 영업을 시작했다. 이에 주민들이 지난해 너도나도 골프카를 들여오기 시작해 현재 20여대의 골프카가 작은 섬 마라도를 헤집고 다니고 있다.
이들 골프카는 관광객들에게 4인승은 2만원,8인승은 3만원에 빌려주고 주민이 직접 운전하는 골프카는 1인당 3000원을 받고 섬 한 바퀴를 돌아준다.
●제주도“불법개조 등 안전점검 실시할 것”
골프카가 마라도를 마구 헤집고 다니자 관광객들은 ‘차가 없는 청정 섬’ 이미지에 어울리지 않는다며 아쉽다는 반응이다.
마라도는 동서로 500m, 남북으로 1.3㎞, 면적이 9만여평에 불과해 걸어서 1시간이면 넉넉하게 섬 전체를 돌아볼 수 있다.
관광객 문모(56·대구시 수성구 지산동)씨는 “자동차가 없는 청정의 섬이라고 해서 찾아왔는데 수십대의 골프카가 헤집고 다니는 모습에 실망했다.”면서 “더 이상 마라도는 자연으로 돌아간 청정의 섬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자동차를 섬밖으로 내보낸 후 낚시꾼들의 발길이 끊어져 민박집들이 피해를 입는 등 생계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종수(45) 마라리이장은 “낚시도구 등 짐이 많은 낚시꾼들이 선착장에서 민박집까지 걸어다녀야 하는 등 불편해 마라도행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골프카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돕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골프카를 이용하는 관광객들의 안전도 문제다.
골프카는 도로교통법상 도로에서 운행을 하지 못하지만 마라도에는 도로교통법상 도로가 없어 골프카 운행은 불법은 아닌 셈이다. 그러나 골프카는 자동차가 아니어서 자동차 보험에 들지도 못하는 데다 마을길은 주변 해안절벽과 곧바로 연결돼 운전 부주의 등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높다는 지적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마라도에서 운행중인 골프카의 불법개조 등 안전기준 확보 등에 대해 점검을 벌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글 사진 마라도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7-1-18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