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고구려 평강 공주와 온달 장군의 애틋한 사랑의 전설이 서려 있는 곳에서 발견됐기 때문에 ‘공주와 장군의 환생’에 비유되고 있다.
14일 광진구에 따르면 연리근은 지난 9일 아차산 등산로 입구에서 15분쯤 올라가다 경기도 구리시로 넘어가는 일명 ‘낙타고개’ 근처의 두 아까시나무에서 한 등산객이 발견했다. 아까시는 흔히 아카시아라고 잘못 알려진 나무다.
어른 팔뚝 굵기만 한 뿌리의 길이는 1.5m 정도. 수령이 40년쯤 된 두 나무의 직경은 1.5m로 나무 하나의 키가 다른 하나보다 조금 크다.
나뭇가지가 붙으면 연리지, 줄기가 붙으면 연리목이라고 하며, 이런 나무는 우거진 숲에서 종종 발견된다. 반면 연리근은 대개 흙 속에 파묻혀 있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연리는 두 나무의 연한 잔뿌리가 자라다가 서로 맞닿으면 부름켜가 이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렇게 되면 한 나무에 물을 뿌려도 두 나무가 사이좋게 양분을 나눈다. 생육상태와 세포조직이 닮아야 가능하기 때문에 나무의 종류가 다르면 안 되고, 같은 종류라도 매우 드문 일이다. 그래서 연리를 남녀의 사랑에 비유한다. 중국 당나라 현종과 양귀비의 사랑을 노래한 장한가(長恨歌)에도 연리지가 나온다.
연리근이 발견된 아차산은 남한에서 고구려 유물·유적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곳. 아차산성과 16개의 보루(군 주둔지)에서 1300여점이 발견됐다. 특히 한수 이북의 땅을 되찾기 위해 고구려 온달 장군이 신라군과 싸우다 전사한 곳이 아차산성이다. 병사들이 장군의 관을 옮기려 하자 꼼짝도 하지 않다가, 평강 공주가 위로의 말을 건네자 비로소 들렸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아차산에 조성된 생태공원에는 평강 공주와 온달 장군의 다정한 모습이 동상으로 서 있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이 나무로 환생한 게 아니냐는 말이 더 그럴듯하게 들린다. 광진구는 연리근 앞에 보호안내판을 세웠다.
아차산생태공원 직원 정성애씨는 “등산객의 제보를 받고 진단을 해보니 뿌리가 붙은 나무였다.”면서 “훼손되지 않도록 주민들이 아껴 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3-15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