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수술 프로젝트
지난 22일 별이는 서울대공원 진료과 입원병동에서 3번째 생일을 맞았다. 사과, 고구마, 식빵 등을 먹기좋게 잘라놓은 생일상은 이곳에서 공공근로를 하는 보람씨가 차렸다.
별이는 현재 두 눈에 백내장이 퍼져 앞을 거의 볼 수 없다. 지난 2월까지 어미와 함께 남미관에 살던 별이는 어느 날부터 코앞에 있는 먹이도 찾지 못해 헤매는가 하면 시도 때도 없이 벽이나 기둥에 부딪치는 모습이 발견돼 진료과로 옮겨졌다. 별이의 병명은 선천선 백내장. 고맙게도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서 수술을 해주겠다고 나섰지만 동물원은 고민에 빠졌다. 문제는 수술이 아니라 수술 후 거쳐야 할 치료과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우선 사람처럼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손을 가진 게 문제였다.
승원우 진료과장은 “답답한 걸 싫어하는 원숭이가 수술 부위를 가만히 놔둘 리 만무하다.”면서 “마구 비벼 덧나기라도 하면 수술을 안 하느니 못한 상황까지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수술 뒤 일주일은 2∼3시간마다 안약을 넣어줘야 한다. 물론 손과 발을 모두 꽁꽁 묶어 버리는 방법도 있지만 수술통증에 손까지 묶인 어린 원숭이가 그 스트레스를 감당할 수 있을까.
●“별아 눈으로 누나를 보렴”
녀석의 딱한 처지를 보고 친구를 자청하고 나선 것이 보람씨다. 수술 전까지 별이가 믿고 의지하는 사람이 생겨 간호를 맡길 수 있다면 녀석의 회복도 스트레스도 훨씬 줄일 수 있다는 배려에서다. 하지만 사람 발소리만 들어도 우리에 숨기 바쁜 겁 많은 별이와 친해지는 것은 한쪽의 의지만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아픈 야생동물일수록 경계가 심하기 마련인 데다 어릴 때부터 어미와 무리를 떠나지 않은 별이는 사람에 대한 경계를 풀지 않았다. 매일같이 근무시간 내내 인사하고 먹이를 주고 또 놀아주기를 두 달. 정성에 감복했는지 조금씩 곁을 내주던 별이는 어느덧 보람씨가 나타나면 우리에서 나와 품에 팔짝 안기기까지 한다. 눈도 안 보이는 녀석이 신기하게도 보람씨의 발소리부터 알아본다.
다음주부턴 치료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별이의 눈에 식염수를 넣어주는 연습을 할 계획이다. 보람씨는 “수술이 잘 끝나서 별이가 코나 귀가 아닌 예쁜 눈으로 날 알아봐주는 것이 소원”이라면서 환하게 웃었다.
글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