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관계자는 “만일 CCTV가 없었다면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없어 이 사건은 또 다른 부녀자실종사건으로 확대될 뻔했다.”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폐쇄회로 TV 설치 박차
화성시가 ‘안전한도시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곳곳에 설치한 CCTV가 점차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시는 군 전역에 거미줄과 같은 방범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목표 아래 CCTV 설치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태안지역 등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7곳에 65대를 설치했으며 올해만 36억원을 들여 115대를 추가 설치한다.
동탄신도시에 설치중인 224대를 포함하면 화성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488대의 CCTV를 보유하게 된다.
최영근 시장은 “동탄신도시에 설치된 CCTV 통합관제센터를 통해 범죄행위는 물론 주정차위반, 쓰레기 불법투기 등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은 최 시장의 공약이다.“잇따른 강력사건으로 실추된 도시 이미지를 쇄신해야 한다.”며 안전한 도시만들기를 최우선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최 시장과 화성경찰서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안전한 도시 화성만들기 추진위원회’를 구성, 방범시스템 구축과 시민방범순찰대를 활용한 방범활동 강화 등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CCTV와 함께 보안등이 곳곳에 설치되면서 어두웠던 도시가 밝아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70곳, 올해는 400곳, 내년에는 530곳 등 모두 1000여곳에 가로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강력사건 대부분이 늦은 밤 귀가하는 부녀자들을 상대로 노상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 마을안까지 버스가 들어가는 모세혈관형 버스운행체계도 구축하고 있다.
●2013년 WHO 공인 ‘안전도시´ 목표
화성지역 78개 단체 1600여명으로 시민자율방범순찰대를 조직했다. 이들은 20개 읍·면·동의 공원·도서관·공장·학교 등 134개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매일 10시부터 자정까지 순찰활동을 벌이고 있다.
자치단체와 시민, 경찰이 ‘안전한 도시만들기’에 올인한 셈이다. 화성시의 노력으로 경찰서 추가 신설 계획도 3년 앞당겨졌다.
서울보다 1.4배나 큰 면적에다 8000여개의 중소기업과 15만명의 근로자가 산업활동을 하면서 치안수요가 급증했지만 화성경찰서는 화성이 아닌 오산에 있었다.
화성시는 그동안 경찰서 추가 신설을 강력히 건의해 왔으며 최근 신남동 부지 8000여평을 경찰에 무상 제공하는 방안이 받아들여져 결실을 맺게 됐다. 서부경찰서는 올 10월 착공에 들어가 2009년 10월 완공한다. 시는 궁극적으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공인하는 안전도시로 만들 계획이다. 안전도시는 시민 참여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고 및 손상으로부터 안전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말한다.
최 시장은 “내년에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해 2013년에 WHO로부터 안전도시 공인을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화성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07-5-2 0:0:0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