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 노원구가 장애인 문제 해결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장애인 인구가 2006년 12월 현재 2만 3115명으로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많기 때문이다.
●벤치마킹 대상된 마들랜드
노원구 하계1동에 자리잡고 있는 마들랜드는 면적이 52평(174㎡)에 불과하다. 하지만 서울시내에서는 유일한 장애 어린이 재활시설이다.
놀이를 통해 장애우들이 운동 및 감각능력 회복을 돕고, 나아가 정서함양을 위한 것으로 각종 놀이시설과 함께 비디오나 오디오 등을 갖추고 있다.
벌써 연인원 7207명이 이용했다. 다른 자치구에서도 이 시설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견학을 오곤 한다.
●“단체장에 장애인 의무고용 명령권 줘야”
노원구는 이달 말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욕구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장애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노근 구청장은 “장애인이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생산적 복지제도로의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면서 ▲정부투자기관 등의 ‘장애인 고용률 공시제도’ ▲기업이나 학교의 ‘장애인 선발 쿼터제’ ▲‘장애인주택의 용적률 인센티브’ ▲지자체 간 ‘장애인 복지예산 차등 지원제도’ ▲‘복지주체의 다변화’ 등 5개항의 도입도 주장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07-5-23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