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개발의 밑그림인 4대 권역별 개발계획의 형상화를 위한 첫 단추를 꿰맨 기간이었습니다.”
양 구청장의 1년 자평이다. 설계가 끝나고 ‘터파기 공사’에 들어갔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신도림역 일대 ‘상업복합 벨트’ 사업이 가장 빠르게 진행됐다.30층 이상의 대우미래사랑시티와 테크노마트가 준공을 앞두고 있다. 대성디큐브시티(51층)는 곧 착공에 들어간다.
가리봉동 일대의 디지털단지 배후도시 육성과 관련, 주택공사가 사업시행자로 지정됐고 주민대표회의가 구성됐다.
올해 세부 실행계획과 마케팅 용역이 실시된다. 영등포 교정시설 이전도 법무무와 의견 조율이 이뤄진 가운데 구청과 법무부, 토지공사 등 3자간 시행방법에 대한 합의서 작성만을 남겨두고 있다. 고척동 동양공전 앞 운동장 부지에는 대규모 공연장과 돔 야구장 등을 갖춘 e스포츠센터가 들어선다.
옛 구로공단의 ‘디지털 단지’ 변신도 빼놓을 수 없다. 거리 이름마저 바꿨다.‘공단로’가 ‘디지털 단지로’로 개명된 것. 현재 ‘공장 굴뚝’ 대신 6500여개의 첨단 벤처기업이 둥지를 틀고 있다.
양 구청장은 “벤처협회 등 벤처기관들이 테헤란로에서 디지털단지로 몰려들고 있다.”면서 “IT 메카는 이제 구로 디지털단지”라고 말했다.
환경과 교육 사업에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2012년 132만㎡ 규모의 수목원이 항동에 들어서는 가운데 산책로, 습지 등을 조성하기 위해 현재 토지 보상을 협의하고 있다. 영어학습체험센터 운영과 국제 교육관 조성에도 나서고 있다.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구로 디지털단지가 확대되면서 주변 도로의 교통 정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도로확보의 어려움이 서울시의 교통 체계, 예산 부족과 맞물리면서 ‘묘안 찾기’가 쉽지 않았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7-7-19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