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중구에 따르면 자원재활용처리장이 살아있는 ‘환경 학습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54회에 걸쳐 2500명의 학생이 재활용처리장 체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에만 초등학생 450명이 견학교육을 받았다.
견학 프로그램은 재활용처리장 시설 현황과 자원 재활용에 대한 DVD 시청, 청소차량 세차 과정 등을 둘러보는 과정으로 짜여져 있다.
정동일 중구청장은 “환경에 대한 관심은 어렸을 때부터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도심 지하에 설치된 처리장을 많은 학생들이 볼 수 있도록 견학 기회를 늘리겠다.”고 말했다. 중구 자원재활용처리장은 1999년 전국 최초로 도심공원 지하에 설치됐다. 연면적 1만 1708㎡로 지하 3개층 규모다. 쓰레기 압축시설과 재활용 처리시설, 분진 및 악취제거 설비 등을 갖췄다. 하루에 처리하는 쓰레기양은 생활쓰레기 220t, 재활용쓰레기 276t이다. 자원재활용처리장은 생활쓰레기를 압축한 후 소각장 및 매립장으로, 재활용품은 매집장으로 보낸다.
쓰레기 처리 작업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는 활성탄에 통과시킨 뒤 외부로 유출한다. 차량을 세차할 때 발생하는 폐수는 처리설비를 거쳐 방출된다.
중구 관계자는 “자원재활용처리장이 가동되면서 주민 불편이 줄고, 수거 시간도 단축됐다.”면서 “특히 폐기물 수송 횟수가 줄고, 수송경비 절감 등으로 연간 500억원을 아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