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타지역간 불균형 해소”
“주민들의 손과 발, 눈과 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이성국(50) 양천구의회 의장은 맑은 눈망울로 자신의 역할을 이렇게 요약했다.
올해 나이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이치를 깨달은 걸까. 이 의장은 29일 “세상은 물(水)처럼 움켜쥐면 빠져나가고, 비우면 다시 차고 만다.”면서 “구의장도 세상 순리를 거스르지 않고 낮은 자세로 낮은 곳을 보며 수행할 것”이라며 선문답 같은 말을 이어간다.
20대 초반까지 문경 김용사, 설악산 봉정암에서 불심을 닦은 내공 때문일까. 구릿빛 얼굴, 마르고 왜소한 체격이지만 맑고 강한 기운이 느껴진다.
1982년 산에서 내려와 터를 잡은 곳이 바로 목2동이다.30년 가까이 동네 궂은 일을 도맡았던 그에게 ‘구의원’은 딱 어울렸다.
그래서인지 이 의장은 “목동신시가지와 기존 일반주거 지역 간의 지역불균형 해소와 소외 계층을 위한 복지정책을 연구하겠다.”면서 “다양한 지원으로 모두가 행복하게 잘 사는 양천구 건설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한다.
목동 신시가지는 미래형 고품격 도시로, 기존 목동·신정권은 수준 높은 문화·교육 도시로, 신월권은 남부순환도로를 기반으로 한 경제도시로 개발될 수 있도록 집행부와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주거정비 사업에도 주목하고 있다. 그는 “양천구 하면 누구나 목동아파트처럼 집값 비싸고 깨끗하다고 착각한다.”면서 “구시가지는 그야말로 미로 같은 골목길에 다세대 주택 밀집지역으로 어떤 형태로든 하루빨리 정비사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상대적 박탈감에 빠져 있는 주민들에게 위안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집행부와의 관계도 ‘포용’을 내세운다. 이 의장은 “‘으뜸 양천’을 위해서는 정당이나 이해관계가 필요없다.”면서 “올바른 집행부의 정책이나 사업은 구의회가 발벗고 나서 지원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집행부의 독선이나 아집에 대해선 따끔한 질책과 함께 견제할 것이라는 말을 잊지 않았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08-7-30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