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오산시 등 선점 경쟁
“역 이름을 선점하자.”최근 경기지역에서 전철역 명칭을 둘러싼 유치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2009년 완공 예정으로 공사가 진행 중인 경부선 전철 1호선 병점차량기지역(가칭) 명칭을 두고 화성시와 오산시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차량기지역이 화성 동탄신도시와 오산시 외삼미동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오산시는 행정구역상 오산시 외삼미동에 위치하게 되는 역사 명칭을 ‘삼미역’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화성시는 동탄 신도시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동탄역’ 또는 ‘능동역’으로 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오산시 원동에 위치한 화성 동부경찰서의 명칭을 두고 시민 10만명 서명운동을 벌이고 청와대와 경찰청 등에 명칭 변경 탄원서를 제출했으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던 오산시는 ‘이번엔 양보할 수 없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오산시는 주민의견을 수렴해 역사명칭을 삼미역으로 해야 한다는 건의서를 지난 6월 국토해양부와 경기도에 전달했으며 화성시와 역사 명칭 문제 등을 협의 중이다.
병점차량기지역은 주변 주민들의 역 신설 요청과 동탄신도시 등 주변지역 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추진해왔다. 총사업비 340억원 중 화성시가 140억원, 동탄신도시 조성사업자인 한국토지공사가 200억원을 부담하게 된다.
군포지역에서는 내년 12월 개통될 전철 1호선 당정역(가칭)의 명칭을 둘러싸고 인근 한세대학교와 당정동 주민들이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한세대측은 역사가 학교로부터 500m밖에 떨어지지 않은 지역에 있고 3000여명의 학생들이 이용하고 있는 점 등을 들어 한세대역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당정동 주민과 일부 시의회 의원들은 마을 이름을 바탕으로 ‘당정역’으로 해야 한다는 맞서고 있다.
주민들은 “군포시 예산으로 역사를 짓는데 지역명을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다.”“만약 한세대역으로 결정된다면 철회서명운동을 전개할 것이다.”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경기대는 신분당선 경기대역사 신설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측은 “대학 주변을 통과하는 구간에 역사가 신설된다면 부지까지 무상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신분당선 연장구간은 성남시 정자역에서 용인 수지, 수원 광교신도시, 경기대를 거쳐 호매실까지 23.04㎞(지하 20.6㎞, 지상 2.44㎞)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한편 전철 1호선 ‘병점(한신대)역’은 당초 ‘병점역’이었으나 한신대측의 지속적인 요구로 지난 2006년 9월1일부터 공동표기하게 됐다.
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08-9-17 0:0: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