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주거환경 정비구역의 규모가 확대되고, 뉴타운 등 정비사업의 개발 속도가 조절될 전망이다.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자문위원회는 15일 뉴타운·재개발·재건축 등으로 각각 나뉘어 추진돼 온 서울시의 주거환경 정비사업을 5대 생활권역별 특성과 주택 수급률을 감안한 광역 개발방식으로 전면 재조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자문위는 이날 뉴타운·재개발·재건축·역세권 시프트(장기전세주택)·소형 저가주택 등 세분화된 주택공급 계획안을 하나로 묶어 도심권·동남권·동북권·서남권·서북권 등 5대 생활권역별로 광역 개발하는 내용의 주거환경정책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자문위는 뉴타운·재개발·재건축 등 주거환경 정비사업을 통합해 광역 개발방식으로 전환하면, 도로·공원·학교 등 기반시설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데다 아파트 위주의 개발에서 벗어나 원룸과 기숙사형 주택, 부분 임대형 아파트, 단지형 다가구 주택, 소규모 블록형 주택 등 다양한 주택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문위는 특히 2009년과 2011년 사이에 뉴타운 개발이 집중돼 기존 주택 멸실(滅失)량이 신규 주택 공급량을 크게 앞지를 것으로 보고, 5대 권역별로 소형 저가주택 공급계획을 고려해 개선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자문위가 오는 20일 공청회를 열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뒤 이달 말 최종 자문안을 마련하면, 시는 이를 토대로 다음달 중 종합적인 주택정책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전광삼기자 hisam@seoul.co.kr
2009-1-16 0:0: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