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에서 처음 시도되는 일자리 나눔 방식으로 공기업들이 줄줄이 동참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주공이 내놓은 일자리 나눔 재원은 노조원의 복리후생비로 사용하는 사내근로복지기금(순이익의 5%)이다.
주공 노사가 잡 셰어링을 위해 내놓은 돈은 1년치 사내근로복지기금에 해당하는 40억원. 근로복지기금은 노조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이다.
주공은 올해 예산(집행기준)이 15조 8000억원이나 되고 직원도 4500명에 이르는 건설 공기업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대규모 기업에서 내놓은 40억원이 큰 돈은 아니지만, 노사 합의로 마련됐다는 점과 단순 일자리 창출이 아닌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공은 이 돈으로 가정주부 1000명에게 전국 126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자활을 돕는 ‘돌봄서비스’라는 일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채용대상은 주공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65세 이하 주부이며, 3월부터 6개월간 일하고 한달에 60만원을 받는다. 도우미 1명이 10가정을 주 1회씩 방문해 ▲보건의료지원(환자수발, 통원치료동행, 물리치료보조) ▲정서지원(치매노인 말벗, 취미활동 상대) ▲아동보호(소년소녀가정 탁아, 학업지도, 의부모 역할) ▲일상생활지원(청소, 세탁, 취사, 목욕, 심부름) 등을 하게 된다.
주공은 “저소득 미취업 주부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는 한편, 사회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어려운 이웃을 돕는 일에 함께 동참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최재덕 사장도 “입주민의 일자리 제공뿐만 아니라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과 아이디어 발굴로 서민들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09-2-2 0:0: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