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핵연료 집합체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실물 크기로 검증하는 성능 시험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미국,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네번째 시험 성공이다.
핵연료를 묶은 다발 형태인 핵연료 집합체는 경수로 원전 1기마다 120~150개씩 들어간다. 고리 3, 4호기의 경우 원전 1기당 157개가 들어 있다. 흔히 핵연료를 교체한다고 말하는 게 실제로는 핵연료 집합체를 교체하는 것이다. 핵연료 집합체의 사용 연한은 보통 18개월인데, 계속해서 기술개발이 이뤄져 원전을 가동하면서 몇 차례 핵연료 집합체를 교환하다 보면 서로 다른 형태의 핵연료 집합체가 함께 가동하게 된다. 원자력 발전이란 핵 분열 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물을 끓여 이때 생기는 고압 증기로 터빈을 돌리는 방식인데, 서로 다른 핵연료 집합체가 가동하면서 원자로 내 물의 소용돌이 모양 등이 바뀌게 되고, 이 때문에 원자로의 진동이 증가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원자력연구원은 이번에 기존의 핵 연료와 한국원자력연료(KNFC)에서 개발 중인 새로운 핵 연료인 ‘수출선도형 고성능 고유핵연료(HIPER)’와의 양립성 시험에 성공했다. 연구원 측은 “내년 상용 원전에서의 연소 시험을 거치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4-0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