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최대 도심 잔디광장 월드컵땐 ‘붉은물결’ 장관
“도심 한복판에 이렇게 큰 잔디 광장이 있다니….” 경남 창원시를 처음 찾는 외지 사람들은 시 한가운데 조성돼 있는 넓은 잔디광장을 보고 눈이 휘둥그레진다.창원광장은 동양에서 가장 큰 잔디 광장으로 창원을 상징하는 명소다. 창원시 도심 중앙에 위치해 사시사철 밤낮으로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공간이다.
●서울광장 2.6배·축구장 5개 크기
로터리를 겸해 둥글게 조성돼 있는 창원광장은 지름 이 210.8m, 둘레가 661.9m이다. 잔디가 심어져 있는 광장면적은 3만 4900.5㎡(1만 557여평). 축구장(7140㎡) 약 5개를 합친 크기다. 서울시청 앞에 있는 서울광장보다 2.6배 크다.
광장 밖으로 5~6차선의 도로가 둘러싸고 있고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도로가 뻗어 있다. 광장 옆 북서쪽에 창원시청을 비롯해 주변에 백화점과 대형 마트, 상가건물 등이 들어서 있다. 광장 밖에 설치된 4개의 횡단보도를 통해 들어가고 나온다.
창원광장은 창원시가 건설되면서 중앙로의 로터리로 조성돼 1980년 4월 창원시청이 문을 연 뒤 잔디를 심어 시민휴식 장소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광장 중심으로 로터리… 태양 형상
창원공단 조성 당시 도시계획 및 건설을 지휘했던 오원철(82) 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창원을 건설하면서 창원이 한자 창(昌)에 겹쳐 있는 두 개의 태양(日)처럼 빛나 사방으로 활기차게 뻗어 나가라는 의미에서 도심 중앙에 해를 상징하는 대형 로터리를 만들고 사방으로 도로를 설계했다.”고 말했다.
창원시는 당시 창원광장을 조성했던 의도대로 사방으로 도시가 발전해 인구 50만명이 넘는 행정·산업 중심도시로 번성했다.
광장은 24시간 개방돼 있다. 집회나 사적인 단체 행사는 이용이 금지돼 있다. 기업사랑 홍보행사나 각종 문화행사, 창원 시민의 날 행사 등 공공행사만 할 수 있다.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를 계기로 월드컵 응원명소로 유명세를 탔다. 창원시 관계자는 “월드컵 때 한국과 경기가 열리는 날에는 3만여명의 시민들이 창원광장에 모여 경기 중계를 보며 응원을 펼쳐 붉은 물결이 장관을 이루었다.”고 말했다. 오는 6월 열리는 남아공 월드컵 때도 우리나라 경기가 있는 12, 17일(오후 8시30분)과 23일(오전 3시30분) 창원광장은 시민들의 응원 열기로 뒤덮일 전망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창원광장의 면적을 누가 더 정확하게 알아맞히는지 내기를 하다가 전화로 문의를 해 오는 시민들도 종종 있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