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서 더이상 어떻게 해볼 게 없어요”
●곳곳 빈자리·인터넷 서핑
지난 1월11일 세종시 수정안 발표를 앞두고 밤샘작업을 하며 왁자지껄하던 국무총리실의 가장 바쁜 부서의 모습은 온데 간데 없었다. 홍보책자를 비롯한 각종 세종시 수정안 관련 자료들이 사무실 한쪽에 뜯기지도 않은 채 쌓여 있었다. 그전까지만 해도 세종시 수정안 발표문들이 비밀스레 만들어져 가던 공간이다.
듬성듬성 빈자리들이 보였다. 수정안이 발표된 지 5개월이 지나면서 다들 지쳐 있는 표정이었다. 6월 국회 통과는 이미 기대를 접은 눈치였다. 오히려 새롭게 구성된 국회 상임위원회와 다가올 14~17일 대정부질문에서 다시 처음부터 국회의원들을 설득해야 하는 작업을 힘겨워하는 듯했다. 최근 구성된 국회 국토위원회는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하는 한나라당 친박(박근혜 전 대표)계와 범야당이 3분의2를 차지하고 있다.
기획단 관계자는 “정부에서는 더 이상 어떻게 해볼 게 없어요. 대정부 질문을 준비하면서 홍보에 전념해야지요.”라고 힘 없이 말했다.
●입주 기업들 관심도 ‘뚝’
기획단으로 전화를 걸어 “법안 통과를 서둘러달라.”고 재촉하던 기업들의 연락도 뜸해졌다. 실제 정부는 삼성·한화 등 세종시 입주기업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이후 아무런 진척이 없는 상태다.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가 성명을 발표하고 한 달에 한 번씩 모여 상황 점검을 해도 실질적으로 별소득이 없다.
여기에 정 총리의 사의설은 기획단의 간담을 쓸어내리게 했다는 후문이다. 정 총리의 사임이 사실상 현 정권의 세종시 포기로 직결된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10월 말 활동이 종료되는 세종시기획단의 운명도 조기종료될지 모른다.
●내주 중 인터넷 홍보 계획
기획단은 지방선거로 일시 중단된 홍보를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르면 다음 주 세종시 수정안의 궁금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디지털 Q&A(문답)’ 인터넷 홍보물을 선보일 계획이다. 하지만 예전처럼 오프라인으로 전단을 뿌리는 등 적극적인 홍보는 하지 않을 예정이다. 관계자는 “적극 홍보를 할지 안 할지 확실치 않다.”며 씁쓸한 미소를 지어보였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0-06-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