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는 정치적 지형에 관계없이 국가고용전략 2020에 대해 싸늘한 반응이다. 정부 대책으로 늘어날 일자리의 ‘질(質)’에 대해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파견·기간제 근로자의 규제를 풀거나 시간제 일자리를 큰 폭으로 늘리는 등 고용시장 유연화 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게 노동계의 시각이다. 일자리 숫자는 늘어나겠지만 ‘나쁜 일자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박성식 민주노총 부대변인은 “친서민 정책의 하나로 고용대책을 내놨는데 구체적 의지와 진전된 계획을 밝히지 못했다.”면서 “일자리 숫자에만 집착해 고용의 질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노동 유연화를 마치 고용문제를 풀 핵심 전제인 것처럼 접근했다.”면서 “고용을 빌미로 기간제근로자나 파견업종 확대 등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식으로 흐를까 봐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과 정책공조를 하고 있는 한국노총도 다르지 않았다. 정문주 기획정책국장도 “고용 유연화가 사실상 국가고용전략의 전부”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성장=일자리 창출’의 패러다임을 버렸다고 말하지만, 내용을 뜯어 보면 그대로”라면서 “갈수록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가 떨어지는 만큼 사회적 서비스 일자리를 늘려야 하는데 이번 대책에는 근로시간단축권과 유휴간호사 고용창출 등 딱 두 개뿐”이라고 설명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10-1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