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 출신 부대변인 지고 SNS에 밝은 e대변인 뜨고
시절에 따라 대변인도 ‘진화’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변인의 명칭이나 직제가 바뀌기도 한다. 지금의 대변인은 박정희 정부 시절인 1970년대에도 같은 이름으로 운용됐다. 그러다 이후 한참 동안은 ‘공보관’으로 불리기도 했다. 다시 지금의 이름을 찾은 것은 노무현 정부 들어서였다.현 정부에서도 대변인실은 변화를 겪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1주년을 맞아 “정부 정책 홍보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부대변인을 두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한마디 지시하자 부처들이 앞다퉈 4급 상당의 부대변인 자리를 만들었다. 주요 부처들이 한동안 언론인 출신 ‘모시기’ 물밑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한마디로 불붙은 부대변인 제도는 뒷심을 발휘하지 못했다. 중앙부처의 관계자는 “2009년 부처들이 너나없이 부대변인 자리를 만들어 외부영입에 열을 올렸지만, 기대만큼의 소득이 없었다.”면서 “대변인실에 이미 4급 과장이 있는 상황이어서 새로 들어온 부대변인과 직급이 부딪치는 등 업무에 혼선이 컸다.”고 말했다. 그런저런 이유 때문에 부대변인에게는 ‘홍보전문관’ ‘홍보기획관’ 등의 새 이름이 붙여지기도 했다. 물론 여전히 부대변인 자리가 의미있는 부처도 있다. 외교통상부와 통일부가 대표적이다. 통일부는 최근 경쟁력 있는 인물을 발탁한다는 취지에서 부대변인을 개방형 직제로 바꿔 공모에 들어갔다.
시대흐름에 맞게 대변인 역할론이 바뀌는 것도 물론이다. 부대변인 카드가 시들해진 한편으로 지난해부터 대세는 ‘온라인 대변인’ 쪽으로 기울었다. 지난해 정부 부처들은 온라인 소통의 중요성을 내세우며 경쟁하듯 온라인 대변인 자리를 새로 만들었다. 그 역시 ‘총대’를 먼저 멨던 곳은 청와대다. 청와대 온라인 대변인제가 본격화되자 부처들이 줄줄이 뒤를 이었던 것.
기존의 부대변인을 온라인 대변인으로 이름만 바꿔 운영하는 부처도 더러 있다. (부)대변인이 언론을 상대했다면, 온라인 대변인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목소리를 24시간 살피고 관리해야 하는 임무가 주어졌다. 부대변인 자리에는 언론인들이 각광받았다면 온라인 대변인에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 촉수가 발달한 이가 적임자이다. 부처 홈페이지는 기본이고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에 ‘입과 귀’를 동시에 열어야 하는 주인공들이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1-08-1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