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환 문화부 홍보협력과장
과거에는 인식이 낮아 부처마다 자율적으로 온라인 홍보를 해왔다. 그러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부처 직제를 일괄 개정해 온라인 대변인을 공식화했다. 하지만 업무의 중요성이나 인력 구성면에서 아직도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11일 정부의 온라인 홍보를 총괄하는 문화체육관광부 김재환 홍보협력과장에게 온라인 대변인제 도입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점 등은 무엇인지 들어봤다.→정부가 온라인 대변인을 정식 직제로 인정하게 된 이유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쌍방 소통이 가능해졌다. 커뮤니케이션 기술 변화에 맞춰 정부도 온라인 소통을 담당하는 온라인 대변인 제도를 도입했다. 온라인은 국민(네티즌)의 여론 형성은 물론, 정부와 국민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온라인 채널이 다양해지면서 온라인 대변인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온라인 홍보의 범위는 어디까지고,향후 보강돼야 할 부분은.
-인터넷·스마트폰 등 새로운 매체를 통해 국민과 소통하는 부분은 모두 포함된다. 현재는 부처에서 대표 SNS 등 온라인 채널을 운영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실제 정책을 담당하는 부서와 부처의 최고 책임자인 장·차관도 국민과 소통·교감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온라인 담당자들이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게 일할 수 있는 조직구조의 개편도 절실하다. 온라인 업무의 확대는 국민의 정책참여를 보장하고, ‘스마트 정부’로 혁신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온라인 대변인 제도의 미흡한 점은.
-무엇보다 온라인 홍보에 대한 중요성을 부처 내에서 제대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라인 대변인이 책임지고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구조가 돼야 한다. 온라인 대변인의 직급이 낮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조차 비중을 크게 두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유능한 인재가 온라인 홍보에 몸담을 수 있는 인사상 지원책도 마련돼야 한다.
-현재 15개 부처에서 온라인 담당자의 평균 인원은 5명 정도다. 이 중 3~4명이 비정규 기간제 근로자다. 책임과 권한이 많지 않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해당 부처의 주요 정책을 대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더욱이 내년부터 세종시 이전이 시작되는데, 비정규직들은 현실적으로 생활 근거지를 옮기기 어렵다. 따라서 부처 온라인 업무의 공백이 없도록 이들이 노하우와 전문성을 살려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 다뤄야 할 SNS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온라인 대변인들이 안정되게 일할 수 있도록 인력과 제도 보완에 더욱 힘쓰겠다.
→정부의 온라인 홍보 강화를 위해 어떤 대책을 마련할 것인지.
-미흡하지만 어려운 여건에서 시작한 일인 만큼 건전한 비판과 함께 따뜻한 격려도 부탁드린다. 정부가 온라인 업무를 한다고 했을 때 이를 ‘감시와 통제’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정부 정책을 소개하고 피드백을 받는 것은 필수요소가 됐다. 앞으로 더욱 노력해서 온라인을 통한 협치구조(거버넌스)가 완성되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1-12-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